보일러관리

[스크랩] 장비설치 CHECK LIST

잘👍살아보세 2008. 6. 2. 22:31

시공 CHECK LIST (장비설치공사)

 

 

 

 

(1) 보일러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제작도면을 참고하여 적합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배치도면을
    작성하여 검토
동체 최상부로부터 천장까지의 거리가 1.2M (소용량은 0.6M)이상이 되는지 확인
동체에서 벽까지의 간격은 0.7M 이상으로 하고 2대 이상을 배치할 경우 통로를 고려하여 보일러 상호
    간격이 1.2M이상이 되도록 배치
관류 보일러 또는 전열면적 12M² 이하의 증기보일러를 제외하고 단독으로 최대증발량 이상을 급수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급수장치를 설치

보일러의 급수가 부족할 때 자동적으로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장치 또는 이를 대신하는 안전장치가 있는
     지 확인
증기 STOP 밸브는 보일러 최고 사용압력과 사용온도에 견디고 또한 적어도 7kg ㎠의 압력에 견딜 수 있
    는 것인지 확인
온수온도 120℃이상의 온수보일러 설치시 압력이 최고 사용압력에 도달할 때 작동되는 호칭지름 20mm
    이상의 안전밸브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보일러 안전밸브는 연1회 실시하는 정기 검사시에 안전밸브를 분해하기 때문에 장비 보온시 안전밸브
     주위의 보온은 밸브를 떼어내기 쉽게 시공
설치 후 외부 오염방지를 위해 장비 보양을 하여 시운전시까지 보양을 유지
연도 시공시 열팽창에 의한 신축을 고려하여 신축이음의 설치는 일반적으로 직관부 10M마다 1개소 정도
    설치되는지 확인
2대 이상의 보일러를 동일 연도로서 접속하는 경우 보일러간에 신축 이음이 설치되는지 확인
연도와 벽과의 거리가 300mm 이상 이격되어 설치되는지 확인
연도 지지간격은 2M 정도가 되는지 확인
연도는 내부의 청소가 용이한 부분에 청소구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연도재질이 철판일 경우는 모두 용접구조로 하나 현장에서의 용접작업을 없애기 위해 현장 조립으로
    할 경우 후렌지 조립으로 하고 패킹은 ASBESTOS SEAT 5t 로 설치


(2) 소형 가스 보일러(아파트)
설치시 별도 구획된 전용 보일러실이 있는지 출입문은 방화문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
보일러실에는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보일러실에는 배관 누수시 원활한 배수가 되도록 FLOOR DRAIN을 설치
보일러시 상단에 설치하는 0.5M² 이상의 급기구는 보일러 작동시 열리고 정지시 닫히는 자동개폐식으로
    설치하였는지 확인

보일러실 배기그릴은 사용 연료에 따라 도시가스는 상단, LPG계통(프로판, 부탄)은 하부에 설치하되
    FIRE DAMPER가 있는지 확인

보일러와 가스관의 연결배관은 금속관으로 설치하되 부식 방지가 되도록 함


(3) 응축수 탱크
탱크내면은 고열 에폭시 수지도료(최고온도 150℃)혹은 GALVANIZING등으로 완전히 방청처리가 되어
    있는지 확인
탱크 저수위면이 펌프 흡입구보다 높게 설치되는지 확인
보일러실에의 급수관이 응축수탱크 저면에서 150mm 이상의 높이에서 취출되도록 배관연결 접속구가
    설치되었는지 확인



(4) 냉동기 및 냉각탑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냉온수기는 가스 공급압을 확인하여 발주시 이를 필히 명기하여 추후 압력상승
    으로 인한 정압기 설치건으로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

냉동기와 보일러와의 보안거리가 최소 2M 이상 이격되어 설치되는지 확인
냉동기의 유지, 보수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제작도면을 참고하여 적합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배치도면을 작성, 검토

측벽과 냉각탑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냉각효과가 감소하므로 적어도 냉각탑 높이의 1/2이상 이격거리
    를 두어 설치

냉각탑에 연도가스가 흡입되지 않도록 굴뚝 정상과 떨어져서 설치되는지 확인
승인도면에 의거 방진장치의 설치 위치 및 정해진 규격의 제품 MODEL이 설치되는지 확인
수평이 되도록 스프링 방진장치를 조절한 후 LOCKNUT는 조여져 있는지 확인
설치 후 외부 오염방지를 위해 장비를 보양하여 시운전시까지 보양을 유지
시운전 전에 냉동기 제작회사의 제작도면이나 카다로그상에 명시된 대로 보온(보냉)이 되었는지 확인


(5) 공기조화기
공조기에 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은 벽으로부터 1M이상, 나머지 부분은 사람이 들어 갈 수 있도록 0.3M
    이상 공간이 확보되도록 배치

냉방시 응축수 드레인을 위해 기초 높이는 봉수 높이를 고려
외기를 가열하는 증기히팅코일은 입형으로 하여 코일내 동파를 방지
외기 가열용 히팅코일에 온도조절밸브를 사용시 코일은 2열 이상으로 하고 외기가 직접 맞닿는 제1열은
    직결로 하며 2열째에서 온도조절을 할 것

스프링 방진장치와 공조기와의 고정은 확실한지 확인
승인도면에 의거 스프링 방진장치의 설치위치 및 정해진 규격의 제품 MODEL이 설치되는지 확인
스프링 방진장치의 상하부 HOUSING이 6-12mm 정도 이격되어 있는지 확인
공조기가 코일부분과 휀부분으로 분리되었을 시 코일부분에는 방진 스프링 대신 네오프렌 패드를 설치


(6) 펌프
펌프는 가급적 수원 근처에 설치(흡입양정이 적고 흡입배관 길이가 짧을수록 좋음
급수펌프는 자동교환 운전이 되도록 특별한 사항이 없는한 2대를 설치
급수펌프의 크기를 표시할 때는 토출측 구경으로 나타내며 흡입측 구경은 토출구 보다 한 단계 큰 것으
    로 선정하여 반입, 설치
보일러 급수펌프는 휴젯트펌프등 효율이 낮은 기종을 선정해서는 안되며 원칙적으로 볼류트펌프를 사용
    해야 하므로 이를 확인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 모터는 전폐 옥외형을 사용 확인
배수피트에 설치하는 배수펌프는 입형 또는 수중펌프를 설치
수중펌프 설치 위치는 점검이나 들어 올리는데 지장이 없는 곳으로 하고, 펌프 직상에 반출할 수 있는
    크기의 맨홀을 설치
수중펌프는 점검, 보수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탈착 장치가 구비되었는지 확인
배수용 수중펌프가 바닥 설치형인 경우 피트 바닥에 기초를 만든 후 설치
라인형 펌프를 수평으로 설치할 경우 물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곳에 설치될 시물방지 커버를 펌프위에 설치
펌프와의 배관연결이 엘보로 되는 경우 엘보 밑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방진가대를 벗어나 설치될 시
    방진가대안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가대를 크게 설치


(7) 팬 코일 유닛
바닥장치 또는 로우보이 매립형을 설치할 시 설치가대 높이는 낮게하고 FCU와 가대 및 가대와 바닥과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여 진동방지를 할것

바닥 상치 또는 로우보이 매립형을 설치할 시 건축에서 설치하는 카바와 토출구 사이가 넓은 경우
    캔버스나 닥트로 마감을 하였는지 확인

바닥 상치 또는 로우보이 매립형을 설치할 시 건축에서 설치하는 카바와 토출구 사이가 좁은 경우
    아티론이나 스폰지로 틈새를 메꾸었는가 확인
천정 매립형을 설치할 시 점검구는 수리 및 보수를 위해 FCU 보다 크게 설치
천정 매립형을 설치할 시 FCU로 부터의 기류, 풍압으로 닥트에 생기는 소음이 취출구에서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토출측 닥트내면을 흡음 처리

창문에 커튼이 설치될 경우 상부 토출형으로 설치시 창틀 하단보다 10CM 정도 낮게하거나, 전면 토출형
    으로 변경하여 설치
바닥 상치형은 동절기에 창의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창의 하부에 배치 및
    설치
천장 매립형은 창의 반대측 천장에 설치하고 FCU 토출구와 나란히 1차 공기 취출구를 설치
바닥 상치 및 로우보이 매립형의 토출구와 스위치 위치에 건축에서 시공하는 토출그릴이 일치되는지
    확인
좌우 TYPE 함께 설치될 시 정확한 수량을 파악하여 발주토록 하고, TYPE별 설치위치를 도면화하여 맞게
    설치되는지 확인

바닥 상치 또는 로우보이 매립형을 설치할시 건축에서 설치하는 카바는 필터 점검 및 교환이 용이한
    구조인지 검토, 확인
FCU와 연결배관과의 이격 거리를 파악한 후 이에 맞는 후렉시블관을 반입, 설치
설치 후 외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양을 하여 시운전시 까지 보양을 유지


(8) 열 교환기
TUBE 인축공간은 확보되어 있는지 확인
본체와 벽과의 거리는 0.3M 이상이 되는지 확인
본체는 바닥보다 100mm 이상 높게 설치
최대지시 범위가 최고 사용압력의 1.5배~3배의 압력을 지시할 수 있는 압력계를 부착
판형 열교환기의 차압을 알 수 있도록 열교환기 전후에 압력계를 설치
열교환기 급탕관 부식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Water Dispenser는 가능한 3M이상 이격시켜 열교환기
    (특히 판형 열교환기)의 전열판에 용액이 흡착되지 않도록 설치



(9) 급탕탱크
TUBE 인출공간은 확보되어 있는지 확인
2대 이상 설치시 상호 간격은 0.3M 이상되도록 확인
용기본체 또는 이에 부설되는 관에 최고 사용압력의 10%를 가한 압력에서 작동되는 안전밸브를 부착
BEND TYPE은 대류펌프가 필요 없으나, SPIRAL TUBE TYPE은 대류펌프가 필요하므로 발주시 확인 및
    
반입, 설치


(10) 고가수조
용량이 10㎥ 이상일시 보수, 점검, 청소를 고려하여 2조식으로 분할
소방법에 적합한 소화용수는 확보되어 있는지 확인
통기관은 50mm 이상으로 하고 단독으로 외부에 직접 개방되어 있는지 확인
탱크내 급수시 물의 와류현상으로 전극봉의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급수 인입구와 전극봉과의 이격
    거리는 충분한지 확인
탱크내 볼탭설치 위치가 전극봉의 안수경보 레벨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LEVEL SWITCH 연결 접속구는 보수점검이 용이하도록 맨홀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배관 및 자동제어 연결 접속구의 위치 및 구경을 제작업체에 통보
동절기시 탱크 및 배관이 동파될 소지가 있는지 확인
기초 콘크리트는 수평을 유지하는지 확인


(11) 팽창탱크 개방식
온수보일러를 사용할 경우 팽창탱크의 설치높이는 정두수 10M 이하로 되어 있는지 확인
노통 연관식보일러를 사용할 경우 팽창탱크의 설치 높이는 정두수 70M로 되어 있는지 확인
장치의 최고소보다 최소 1M아성 높게 설치
강제순환식에서 개방식 팽창탱크는 펌프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동절기 동파가 예상되는 경우 전기열선을 감은후 보온
설치 후 외부 오염방지를 위해 보양을 하여 보온작업시 까지 보양을 유지
탱크보온은 시방서 및 도면에 표기되대로 시공이 되는지 확인
기초 콘크리트는 수평을 유지하는지 확인


(12) 송풍기
송풍기는 진동을 일으키므로 건물의 구조물에 직접 닿지 않도록 설치
스프링 방진장치와 송풍기와의 고정은 확실한지 확인
스프링 방진장치가 놓일 기초 콘크리트는 수평을 유지하는지 확인
승인도면에 의거 스프링 방진장치의 설치 위치 및 정해진 규격의 제품 및 MODEL이 설치되는지 확인
송풍기가 수평이 되도록 스프링 방진장치를 조절한 후 LOCK-NUO는 조여져 있는지 확인
송풍기와 모터가 직결되어 있는 경우 축심이 수평으로 일직선상에 있는지 확인
V-BELT의 긴장은 SLIP하지 않을 정도로 하고 너무 세게 긴장되지 않도록 하였는지 확인(V-BELT의
    아랫쪽은 팽팽하게, 위쪽은 느슨하게 함)

출처 : 굴러가는 동테 속에 세상을 담아서
글쓴이 : 수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