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커피 |
---|
커피의 일반적인 분류 1.아라비카종 2.리베리카종 3.로부스타종이 있다... 아라비카와 로부스타가 합쳐진 아로부스타라고 있지만 현재 가장 많이 거래되고있는 것은 아라비카종과 로부스타종으로 나눌수 있다. 그 종류와 수는 너무 많아서 다 설명을 할 수가 없다. 가장 품질이 우수한 것은 아라비카종 커피는 적도를 중심으로 한 남·북위 25° 사이의 커피벨트 지역에서만 생산된다. 커피의 품종은 크게 아라비카, 로부스터, 리베리카로 나눌 수 있는데 가장 품질이 우수한 아라비카종이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로부스터종은 주로 인스턴트용으로 사용되며 리베리카종은 현재 거의 생산되지 못하는 추세다. 커피나무에서 생산된 생두를 혼합하지 않고 한 가지 종류로만 마시면 스트레이트 커피, 두 종류 이상을 혼합하면 블렌드 커피라 부른다. 커피는 생산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데 한국인에게 익숙한 주요 커피 생산국별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브라질 낮은 고도의 대규모 농장에서 커피를 재배하기 때문에 생두의 밀도가 낮은 편. 중 저급의 아라비카 커피가 주를 이룬다. 콜롬비아 세계 2위 커피 생산국으로 고급 커피의 대명사로 불릴 정도로 품질이 뛰어나다. 중소 규모의 자영농장이 많기 때문에 품질관리가 철저하다. 인도네시아 아시아 최고의 커피 생산국으로 90% 이상이 로부스터종이다. 아라비카 커피는 소량 생산하고 있지만 세계적인 고급 커피로 평가받고 있다. 멕시코 한동안은 저급 커피의 대명사로 인식되었지만 고급 커피가 생산되면서 인식이 바뀌고 있다. 품질에 비해 저렴한 가격이 장점이다. 케냐 아프리카 내에서 가장 신뢰를 얻고 있는 커피 생산국. 강하면서도 상큼한 맛을 지녀 와인의 향을 지닌 커피로 평가받고 있다.
*커피의 원재료인 커피콩 종류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바로 아라비카, 로부스타, 리베리카 이 세 종류가 일반적이다, 그 중에서도 아라비카종과 로부�타종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그리고 아라비카는 원두커피로 로부스타는 인스턴트커피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아라비카종이 로부스타종보다 우수하다고 알려져있지만 아라비카종보다 더 좋은 품질의 로부스타도 있다. (아라비카종이 재배과정이나 재배환경 면에서 로부스타보다 까다로운 점이 많아 그런게 아닐까 싶다)
1.품종에 따른 분류 아라비카(Arabica) 올드 아라비카(Old-Arabica) : 원종과 변종을 포함 다른지역으로옮겨지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종 브라질에서 - 버본 베르멜로 ( bourbon vermellho ) , 코뭄 ( commum ) = 테피카( Typicha ) 버본 아마레로 ( bourbon Amarello ) = 숙성된 열매가 놓란색. 마라고지페 ( Maragogype ) , 인도 - 켄트 ( Kent ) . 남미 - 카투라 ( Catura ) 인도네시아 -슈마트라 ( Sumatra ) , 자바 - 블라완 파소에마 ( blawan pasoemah ) 아프리카 - 체르체르 ( tchertcher ) , 김마 ( gimma ) , 시다마 ( sidama ) 브론즈 ( local bronze ) , 브론즈 팁 ( bronze tip ) 뉴 - 아라비카(New-Arabica) : 다른 종자를 교배하여 새로운 종자를 만들어 낸것. 베리드 콜롬비아 ( Varied Colombia ) 카티모르종 + 카투라종 --------------------------------------------------------------- 문도.노보 ( Mundo Novo ) 버본종 + 슈마트라종 --------------------------------------------------------------- 카투아이 ( Catual ) 문도노보 + 카투라종 --------------------------------------------------------------- 티모르 ( Timor ) 아라비카종 + 로브스타종 --------------------------------------------------------------- 카티모르 ( Catimor ) 티모르종 + 카투라종 --------------------------------------------------------------- 에스엘 28 ( SL - 28 ) 아라비카종 + 로부스타종 --------------------------------------------------------------- 자바 ( Jaba ) 버본종과 + 켄트종 --------------------------------------------------------------- 로부스타(Robusta) : 카네폴라종 에 속하지만, 로부스타종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아이보리 코스트 ( Ivory Coast ) 우간다 ( Uganda ) 인도네시아(Indonesia) 앙골라 (Angola) 코닐론 ( Conilon ) 등등 리베리카(Riberica) : 거의 생산되지 않는 품종이다. 2. 상업적 ( 선물 거래방법에 따른 분류 ) 아라비카.언 워시드 커피 ( Unwashed Arabican Coffee ) : 자연 건조방식으로 정제된 아라비카종의 커피로서.. (에티오피아 , 페루 , 볼리비아 , 예멘, 파라과이 ) 등으로 상급품부터 저급품까지 차이가 심하다. 콜롬비아 / 마일드 ( Colombian Mild Coffee ) : ( 콜롬비아 , 케냐 , 탄쟈니아 ) 3국 커피의 총칭으로, 콜롬비아 커피는 세계에서 가장 안정되어 있으며, 상급품은 아라비카 종의 수세식 커피중에서는 단연 최고급이며, 이를 가르켜 콜롬비아 마일드라고 부른다. 기타 마일드 ( mild Coffee ): 콜롬비아 마일드 커피외 아라비카종의 수세식 커피의 총칭이다. 품질은 상급품에서 저급품까지 있는 생산국도 있지요. 양적으로 불안정한 국가도 있다.( 과테말라 , 자마이카 , 쿠바 , 하이티 , 페루 , 멕시코 , 인도 , 온두라스 , 코스타리카 , 베네수엘라 , 파나마 , 루완다 , 브룬지 , 에콰도로 , 도미니카 , 니카라구아 , 파루아 , 뉴기니아, 짐바브웨이 ) 등이 주요 생산국이다. 브라질 커피 ( Beazil Coffee ) : 현재 브라질은 아라비카종의 ㅣ위생산국으로서 그 작황에 따라 커피시세가 변할정도의 영향역이 있기에 브라질은 자연 건조식 아라비카 커피종만을 따로 거래하고 있다. 오히려 이것을 기준으로 기타의 가격이 결정되는 양상이 보이기도 한다. 로브스타 커피 ( Robusta Coffee ) : 모든 로부스타 커피는 이 안에 해당된다. 품질 , 등급의 차가 심해서 가격적으로도 최고급품은 최저품의 3배정도까지 차이를 보인다. ( 인도네시아 , 마다가스칼 , 우간다 , 아이보리코스트 , 카메룬 , 필리핀 , 도고 , 앙골라 베트남 ) 등이 주요 생산국이다. 3.정재방법에 따른 분류 자연 건조식( Natural Dry Process / an washed ) 내츄럴 커피(Natural Coffee)로 불려지는 이 방식은 과육을 제거하여 햇빛에 말리면서 발효되지 않게 정재를 하지요. 부드럽고 당분이 풍부한 맛이 특징이다. 생산은 브라질 , 에티오피아 , 예멘 등에서 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수세식( Wet Dry Process / washed ) 워시드 커피(Washed Coffee)로 불려지는 이 방식은 과육을 제거한 콩을 수조에서 발효시켜 정재를 한다. 정선도가 높고 외관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생산은 점차적으로 널리 퍼지고 있지만, 주로 중남미 지역 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4.재배*정재방법의 특허의 의한 분류 디카페인 커피(Decaffeinated Coffee) : 정재과정에서 카페인을 제거한 커피 말한다. 유기농 커피(Organic Coffee) : 재배방법이 100%에 가까운 친 환경적 으로 재배된 커피로 재배를 하면서 농약 등의 화학물을 쓰지 않고 정해진 룰에 따라 경장을 3년에 한해는 쉬는 등의 방법이 동원되는 월빙커피라 할 수 있겠다. 쉐이드그로운 커피(Shade-Grown Coffee) : 자연적으로 큰 나무들에 의해서 그늘이 형성되어 친환경적인 재배환경에 의한 생산방법으로, 프랜들리 커피(Bird-Friendly Coffee)라고 불리기도 한다. 페어트레이드 커피(Fair-Trade Coffee) : 공정무역마크 된 부착된커피로서.다국정기업등의 폭리적인면을 없애자는 취지로 만들진 제품이다. 에코오케이 커피(Eco-OK Coffee) : 무차별한 경작이 아닌 주변 자연의 생태계까지 보호*유지된 곳의 경작지에서 재배된 생태계유지 커피 만이 인증서를 받은 제품의 커피이다. 서스테이너블 커피(Sustainable Coffee) : 재배지와 생두의 품질이 농장과 정재등의 관리에서앞으로 더욱더 좋아질것이 유력한 커피를 발전가능성이 확인된 커피 로 분류된 제품의 커피다. 파트너쉽 커피(Partnership Coffee) : 농장주와 소비자(커피업자)의 서로간의 신뢰를 바탕으로한 파트너가 되어 소비자는 투자를 하고 질적 요구를 하며, 생산자는 그에 해당하는성과에 따른 보상을 받기도 하는 서로 상부 상조하여 항시 좋은 품질과 원하는 커피를 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 릴레이션쉽 커피(Relationchip Coffee)라고 불리운다.
5.표고의 분류 7 단계 ( 과테말라 ) 1. Strictry haed bean ( SHB ) - 약 1.371m 2. Hard bean ( HB. ) - 약 1.219 ~ 1.371m 3. Semi hard bean ( SHB. ) - 약 1.066 ~ 1.219m 4. Extea prime wishoot ( EPW. ) - 약 914 ~ 1.066m 5. Prime ( PW. ) - 약 761 ~ 914m 6. Extra good witshoot ( EGW. ) - 약 609 ~ 761m 7. Good washed ( GW ) - 약 609m 이하 ------------------------------------------------------ 표고의 분류 3단계 ( 중미 지역의 mild ) 1. Strictry high grown - 1.500m 이상 2. High grown. - 1.000 ~ 1.500m 3. Prime washed - 700 ~ 1.000m 6.맛에 의한 분류법 ( 브라질 ) 1. 스트렉토리 소프트 ( Strictly soft ) ( ストリクトリ― * ソフト ) : 불쾌하거나자극적 맛이 없어야 하며 부드러운 맛이 좋아야 함. 2. 소프트 ( Soft ) ( ソフト ) : 잡미와 잡향이 없는 부드러운 맛의 균형. 3. 소프티슈 ( Softish ) ( ソフティッシュ ) : 소프트급에서 조금 모자란 커피콩 4. 하드 ( Hard ) ( ハ―ド ) : 쓴맛과는 틀린 떪은맛 - 마치 감의 떪은 맛처럼.. 5. 리아드 ( Rioy ) ( リア―ド ) : 쓴맛이 있고 약간 요오드 냄새가 나는 것 6. 리오 ( Rio ) ( リオ ) : 쓴맛의 유무에 구애받지 않는 요오드 냄새가 강한 것 7.사이즈 ( size )에 따른 등급과 규격 표시( 콜롬비아 ) * Supremo : 스크린 NO.17 이상의 입자. 정확한 선별을 거쳐 카라콜 타입 ( carachol type )이 전혀 혼합되지 않고 정성 들려 정선한 콩 ( 상급품 ) * Extra : NO.15의 중립의 콩. 카라콜의 혼입의 상관 없이 양호한 선별을 거침. * Excelso : 슈프리모 타입과 엑스트라 타임의 혼합된 품질. 카라콜의 혼합여부와 상관 없음. ( 수출 표준 산품 ) * Carachol : NO.12의 콩. 대립과 중립의 콩으로 적절한 설별과정을 거친다. * 세간다 , 콘스모 , 파시자 등이 있지만.. 미비하여 생략. --------------------------------------------------------------------------------------- # 또한 생산 중심 지명을 ( market )로 등급과 합쳐 취급한다. 메델린 - M / 아르메니아 - A / 마니잘레스 - M 등의 머리문자를 합쳐 MAM'S라 부르며,뉴욕 취급소에서는 이 세 지역의 콩은 서로 교환하여 주고 받는 것이 승인 되어 있다. 8.등급과 입자 크기에 의한 분류 평평한 콩 ( flat bean ) 둥근 콩 ( peaberry ) 특 대 NO.20 ~19 대 .NO.18 대 NO.13 ~ 12 준 대 NO.17 준 대 NO 11 보통 NO.16 보통 NO.10 중 .NO.15 중 NO. 15 소 .NO.14 소 NO.14 초소 NO.13 ----------------------------------------------------------- AA - NO.19 ~ 18 / A - NO.18 ~ 17 / B - NO. 16 ~ 15
9.로스팅(Roasting) 정도에 따른 분류 그린 빈(Green Bean) : 아직 볶기전의 생두의 상태. 라이트 로스팅(Light Roasting ) : 첫번째 튐(1차파핑)의 바로 앞까지의 볶음상태. 시나몬 로스팅(Cinnamon Roasting ) : 첫번째 튐의 중간까지의 볶음상태. 미디엄 로스팅(Midium Roasting ) : 첫번째 튐의 종료 뒤의 볶음상태. 하이 로스팅(High Roasting ) : 콩이가 늘어난후, 향이 변화하기 바로 앞까지의 볶음상태. 시티 로스팅(City Roasting ) : 향이 변화한 곳에서 두번째튐(2차파핑)까지의 볶음상태. 풀 시티 로스팅(Full City Roasting ) : 두번째 튐뒤, 거무스럼 해지기까지의 볶음상태. 프렌치 로스팅(French Roasting ) : 색이 검은 빛 가운데 아직 갈색이 남아있는 볶음상태. 이탈리안 로스팅(Italian Roasting ) : 거의 갈색이 없어지고, 검어지기 까지의 볶음상태. 1)애그트론 볶음도 분류 (볶음도에 따른 콩의 상태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 ) 라이트(약볶음) > 80 :시나몬 - 밝은 갈색 약한 바디, 최소 아로마와 신맛 표면에 오일이 배어나지 않을 시점. 미디엄~라이트(약중볶음) 61~80 :상대적으로 밝은 갈색 선명한 신맛, 다양한 개성, 콩 표면이 마른 상태. 미디엄(중볶음) >55~60 : 보통의 갈색, 조화된 신맛, 풍부한 바디, 대체로 마른 표면 미디엄~다크(강중볶음) 45~54 : 진한 갈색, 콩 표면에 기름이 배어 나오기 시작. 씁쓸달콤한 맛이 비치기 시작 약해진 신맛, 무거운 바디 다크(강볶음) 35~44 : 매우 진한 갈색을 띤 검은 색 표면에 기름이 덮여서 반짝거림. 쓴단 맛과 탄 맛이 가득함. 신맛과 다양한 특성이 거의 사라짐. 베리 다크(강강볶음) 25~34 : 반짝이는 기름이 콩 표면을 검은색으로 뒤덮음. 온통 쓴맛과 쓰고 단 숯 맛이 점령 바디도 약해지고, 다양한 맛의 특성이 사라짐. 익스트림 다크(초강볶음) < 25 : 검고, 반짝이는 표면, 탄 맛이나 숯 맛 같은 느낌만 남음 2)브랜드(Blended)에 의한 분류 스트레이트 커피(Straight Coffee) : 한 가지 품종만을 볶은 커피로서, 요즘 각광받고 있다. 블랜드 커피(Blended Coffee) : 2가지 이상의 커피를 (생두 * 원두 )상태에서 섞은 커피를 말한다. 일반적인 블루마운틴브랜드커피 , 모카 골드브랜드..등등의 유명커피이름이 많다.
3)인위적인 화학물 첨가 커피 향커피(Flavored) : 볶은 커피에 인위적인 향이나는 ( 오일 , 가루 )등을 첨가해서 원하는 향을 만들어내는 커피다. 일반적으로 헤이즐넛향과 바닐라향등등으로 천연향과 화학향.을 첨가 시킨 제조시킨 커피이다. 반대의미로의 첨가물커피로는 레귤러 커피가 있는데, 일반적인 원두커피를 말하지만, 한국에서의 레귤러커피(Regular Coffee)는 보통(설탕+크림)이 섞인 커피를 말하기도 한다. 10.가공방식에 의한 분류 원두커피 ( Whole Beans ) : 볶은 알 상태의 커피. 분쇄커피 ( Ground Coffee ) : 원두커피를 분쇄한 커피. 인스턴트 커피(Instant Coffee) : 원두커피를 분쇄후, 증기 또는 열탕을 통과시켜 추출액을 받아 다시 원심분리기에 걸어 입자를 제거하고, 열풍중에서 건조시켜 만든커피.마지막 건조과정에서 풍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동결건조나 열을 가하지 않는 건조법도 시도되고 있다. 포드 커피 (FOD Coffee) : 에스프레소 추출방식의 시스템에 일회용으로 준비가된 이 포드는 간편하고 편리하면서도, 분쇄의 불필요 와 청소의 편리성 이라는 장점이 있다. 하드포드 ( Hard pod ) 와 소프트 포드 ( Soft Pod ) 으로 분류된다. 캡슐커피 (Capsule Coffee) : 차세대 커피로 각광받는 커피로 작은 캡슐에 농축액을 넣어 물에 희섞하여 마시는 재품 이다. 가종 머신과 다양한 커피품목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필터 팩 커피 (Filter Pack Coffee) : 포드와 티백의 중간 형태로.. 1회용팩에 든 커피 를 전용머신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커피다. 티백 커피 (Teabag Coffee) : 일회용포장된 커피가루 를 물에 담가서 우려내는 방식의 커피. 일회용 드립커피 (One drip Coffee):컵형 과 컵걸이형 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가루커피를 드립방식을 이용하여 마실 수 있는 1회용 제품이다. 11.생산지에 따른 분류 ① 과테말라:원두가 약간 넓적하고 진한 풀빛이다. 볶기는 중간 정도로 하는 것이 좋으며 전체적으로 쌉쌀한 맛과 신맛이 난다. 품종에는 부드러우면서도 톡 쏘는 맛이 나는 안티과, 초콜릿맛이 나는 코반, 우에우에테낭고 등이 있다. ② 모카:독특한 맛과 향이 조화를 이루며 강한 신맛이 난다. 볶기는 약간 강하게 하고 스트레이트용이나 배합용으로 쓴다. 대표적인 품종은 예멘에서 생산하는 마타리이다. ③ 콜럼비아:맛과 향이 모카보다 강하다. 대표적인 품종은 수프레모로서 부드럽고 향기로운 맛이 특징이다. ④ 블루마운틴:자메이카에서 나며 매우 부드럽고 향기가 있으며 신맛과 초콜릿맛이 조화를 이룬다. 스트레이트용으로 쓴다. ⑤ 브라질:부드러우며 맛의 균형이 잡혀 있어 아침에 마시기에 알맞다. 바이아·산투스 등으로도 불린다. ⑥ 말라바르:인도에서 생산하는 고급커피로서 6주 이상 계절풍을 쐬어 숙성한다. 원두는 노란빛으로 톡쏘는 맛에 싱그런 풀맛이 섞여 있으며 전체적으로 쓴맛이 강하다. ⑦ 수마트라:인도네시아에서 생산하며 쓴맛이 강해서 주로 낮에 마신다. 쓴맛을 줄이고 맛을 풍부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해 동안 숙성하기도 한다. ⑧ 탄자니아:아프리카 동부에서 생산하며 과일맛과 신맛이 난다. 다른 아프리카 커피에 비하여 맛이 좀더 부드럽다. ⑨ 하와이코나:하와이에서 나는 매우 희귀한 고급 원두이다. 맛이 부드럽고 향이 깊으며 신맛과 매콤한 맛이 있다. 12.여러가지 커피 조리법 *하와이언 밀크커피: 카페오레의 응용.달콤한 밀크커피에 휘핑크림을 얹고 코코아 가루를 뿌린 커피다.-재료-커피추출액1/2컵, 우유1/2컵, 설탕 1 1/2작은술, 휘핑크림, 코코아 가루 약간. -만드는 방법- 1) 컵에 설탕을 넣고 뜨거운 커피와 우유를 일대일의 비율로 부어 젓는다. 2) 후핑크림을 얹는다. 휘핑크림은 우묵한 그릇에 생크림을 넣고 부드러운 커품상태가 될때까지 커품기를 저어 만든다. 얼음을 담은 큰 그릇을 준비해 그 안에 생크림이 담긴그릇을 넣고 거품을 내면 더욱 효과적이다. 휘핑크림은 상하기 쉬우므로 즉시 쓴다. 3) 코코아 가루를 뿌려 장식한다. *중국식 밀크커피: 카페오레 의 응용.달콤한 밀크커피에 구기자향을 넣고 휘핑크림을 얹는 커피다. -재료-커피추출액1/2컵, 우유1/2컵, 설탕 1 1/2작은술, 구기자 가루 1작은술, 휘핑크림, 구기자 -만드는 방법- 1) 컵에 설탕과 구기자 가루를 넣고 커피와 일대일의 비율로 부어 젓는다. 2) 휘핑크림을 얹는다. 3) 구기자로 장식한다.
*비엔나 커피 : 다크 로스트 커피위에 휘핑크림을 얹은 부드럽고 우아한 커피이다. 실제 비엔나에는 없지만 세계 각국에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재료-커피추출액1컵, 설탕 1 1/2작은술, 휘핑크림 -만드는 방법-1) 컵에 설탕을 넣고 뜨거운 커피를 부어 젓는다. 2) 컵 윗면을 모두 덮도록 충분한 양의 휘핑크림을 얹는다. 비엔나 커피에 사용하는 휘핑크림은 만들 때 미리 설탕을 넣어 단맛을 낸는 것이 좋다. 3) 스푼으로 젓고 마신다. *스노우 커피 : 비엔나 커피의 응용.눈처럼 휜 휘핑크림 위에 코코아 가루를 뿌린 달콤하고 부드러운 커피다. -재료-커피추출액1컵, 설탕 1 1/2작은술, 코코아 가루 1작은술, 휘핑크림. -만드는 방법- 1) 컵에 설탕을 넣고 뜨거운 커피를 부어 젓는다. 2) 컵 윗면을 모두 덮도록 충분한 양의 휘핑크림을 얹는다. 3) 코코아 가루를 뿌려 장식한다. *러시안 커피 : 비엔나 커피의 응용.코코아 가루를 넣은 달콤한 커피에 휘핑크림을 얹고 초코시럽으로 장식한다. -재료-커피추출액1컵, 설탕 1 1/2작은술, 코코아가루 1작은술, 휘핑크림., 초코시럽 -만드는 방법-1) 컵에 설탕과 코코아가루를 넣고 뜨거운 커피를 부어 젓는다. 2) 컵 윗면을 모두 덮도록 충분한 양의 휘핑크림을 얹는다. 3) 초코시럽을 뿌려 장식한다. *피너츠 커피 : 피너츠 버터를 녹인 밀크 커피 위에 휘핑크림을 얹은 진하고 부드러운 맛의 커피이다. -재료-커피 추출액 1컵, 우유 1/3컵, 피너츠 버터 2작은술, 설탕 1/2작은술, 휘핑크림, 떵콩 다진것 조금. -만드는 방법- 1) 손잡이가 달린 냄비에 우유를 끓기 직전까지 데운다. 전자레인지에 데우거나 중탕해도 된다. 2) 컵에 우유와 설탕과 피너츠 버터를 넣고 녹인다. 3) 커피를 부어 젖는다. 휘핑크림을 얹고 땅콩 다진 것으로 장식한다. *아이스 커피 : 여름철에 쉽게 즐겨 찾는 아이스커피의 생명은 커피의 쓴맛에 있다.따뜻한 커피에 비애 향은 적지만 여름철의 갈증과 더위를 식히기에 충분하다. -재료-커피추출액60ml, 설탕시럽 20ml, 액상크림, 얼음 적당량 -만드는 방법- 1) 긴유리컵에 얼음을 가득 채워 담는다. 2) 설탕시럽을 넣고 커피를 따른다. 3) 취향에 딸라 액상크림을 넣는다. 이 때 크림은 젖지 말고 천천히 크림을 혼합된 맛을 즐기며 마시도록 한다 *.커피 민트 줄렙 : 커피 민트 줄렙은 화이트 민트를 첨가한 아이스 커피이다. 글라스엔 작은 조각얼음을 채우고 커피와 화이트 민트를 부은 뒤 휘핑 크림을 얹는다. 줄렙이란 위스키에 설탕, 박하 등을 탄 청량음료이다. 커피 민트 줄렙은 열대지방의 트로피컬 커피에 해당한다. 열대지방 사람들은 커피와 홍차 속에 박하 (민트)를 더한 산뜻한 맛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매운 요리를 즐겨 먹기 때문에 입맛을 바꾸기 위해서이다. -재료-아이스커피 1컵, 얼음, 화이트 민트, 휘핑크림 -만드는 방법- 1) 글라스에 조각 얼음을 넣는다. 2) 아이스 커피를 붓는다. 3) 화이트 민트를 넣는다. 4) 휘핑크림을 띄운다. *커피 샤워 : 위스키가 들어간 아이스 커피로 컵의 입술이 닿는 부문에 레몬즙과 입자가 굵은 설탕을 묻히는 것이 특징이다. -재료-아이스커피 원액 60ml, 탄산수 60ml, 레몬주스 20ml, 시럽 30ml, 위스키 조금, 레몬 저민 것 1조각. -만드는 방법- 1) 차갑게 한 유리컵을 거꾸로 해 입구에 레몬즙을 묻히고 입자가 굵은 설탕을 묻힌다. 2) 레몬쥬스, 아이스커피 원액, 시럽, 위스키를 넣는다. 위스키 양은 취향에 따라 정한다. 3) 탄산수를 따른다. 거품이 올라오며 윗부분에 층이 생긴다. 레몬으로 장식한다. *아이리시 커피 : 더블린 공항에서 추위를 잊기 위해 처음으로 마시기 시작했다는 위스키가 들어간 커피. 뜨껍게 마시는 커피지만 유리잔에 마신다. -재료-커피 추출액 1컵, 아이리시 크림(리큐르) 2작은술, 설탕 1작은술, 위스키, 휘핑크림 -만드는 방법-1) 손잡이가 달린 유리잔에 위스킬르 부어 불을 붙인뒤 다른유리잔으로 옮기면 알코올을 증발시킨다. 2) 어느 정도 지난다음 불을 끄고 초콜릿 맛이 나는 리큐르(아이스크림)와 설탕을 넣는다. 3) 커피추출액을 붓느다. 휘핑크림을 올리고 스푼과 함께 낸다. *향커피의 종류 *헤이즐넛 -풍미가 좋은 개암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향이 헤이즐넛이다. 달콤함 때문에 제과용으로 쓰이며 잘 끓이면 설탕을 넣지 않아도 단맛을 낸다. *에메랄드 아이리시 크림 -아이리시 위스키 향과 달콤한 크림향이 특징으로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향커피이다. *프렌치 바닐라 -멕시코가 원산지인 난초과 식물에서 추출한 향이 부드러운 바닐라 향을 낸다.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고품격에 값도 비싸다. 카리브 연안의 자메이카 섬 2500미터 고지대에서 생산되며 부드러운 맛, 신맛, 단맛이 잘 어 우러진 커피이다. *카페코나 -하와이 코나지방에서 생산되는 이 커피는 부드러운 맛에 살짝 신맛을 낸다. *프렌치로스트 -콜롬비아와 멕시코 산을 섞은 커피를 많이 볶은 제품이다. 진한 커피를 원할 때 알맞다. *케냐 AA는 케냐산 일등급이다. 스칸디나비안 브랜드는 진한 향이 특징으로 카푸치노에 주로 쓰인다. *에스프레소 커피 -이탈리아 음식점에서 카페를 주문하면 진하고 끈적끈적한 커피가 작은 잔에 담겨 나오는데 이것이 바로 에스프레소 커피이다. 취향에 따라 말린 레몬껍질을 넣기도 한다. 에스프레소에 거품낸 우유와 계피가루를 더한 것이 카푸치노 이다. 너트맥 가루와 클로버 향을 첨가하면 스파이스 커피가 된다. *카페로열 -나폴레옹이 즐겼다는 커피로 잔 위에 스푼을 걸치고 각설탕을 올려놓고 브랜디를 부어 불을 붙여만든다. *아이리쉬 커피 -더블린 공항 주변에서 추위를 막기 위해 마시기 시작했다는 커피로 위스키와 초콜릿 맛의 칵테일용 액체가 들어간 다. 원두커피의 종류블루 마운틴(Jamaican Blue Mountain) -일본의 자본 투자로 가치가 높아진 커피로 자메이카에서 생산되는 가장 비싼 커피다. 자메이카 통틀어 1년에 3만 포대(60kg 단위) 정도만 생산된다. 거의 85% 이상이 일본으로 수출되며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이 즐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산토스(Brazilian Santos) -브라질 상파울로 지방의 원두로 부드럽고 쓴맛은 적고 신맛과 철분이 풍부한 토양에서 성장해 커피 향기가 풍부하게 느껴진다. *코스타 리카 코랄 마운틴 (Costa Rica Coral Mountain) -매우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다. *모카(Mocha!!) -커피 나무의 이름에서 유래한 커피로 예멘 산 '모카 마타리(Yemen Mocha!! Mattari)'가 유명하다. 부드러우며 진한 향을 지니고 있어 저녁 식사 후에 좋다. *가요 마운틴(Gayo Mountain) -인도네시아의 작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생산량이 적다. 대다수가 오가닉(무공해) 방식으로 재배되기에 비싼 가격에 팔린다. *케냐(Kenyan AA) -세계에서 손꼽는 커피 중 하나로 강한 향기와 독특한 신맛을 가지고 있으며 커피원두의 독특한 맛을 느낄 수 있다. *킬리만자로(Kilimanjaro) -중앙 아메리카에서 생산되는 커피 중 가장 강한 향기를 가지고 있다. 커피의 종류 커피는 크게 분류해서 3종류이지만 각국에서 교배종이나 잡종이 만들어지고 있다. 아라비카종, 로브스타종, 리베리카종이 그 주된 것이지만 아라비카종이 전세계 산출량의 70%까지 점하고 있다. 남은 30% 대부분은 로브스타종이고 리베리카종은 아주 조금 밖에 생산되지 않는다. 원산지가 이디오피아인 아라비카(Arabicas)는 잎의 모양과 색깔, 꽃 등에서 로브스타와 미세한 차이를 나타낸다. 아라비카는 다 자란 크기가 5∼6m이고 평균기온은 20℃, 해발 1800m의 고지에서까지 재배된다. 특히 열에 약하여 30℃ 이상의 온도에 2∼3일 밖에 견디지 못하고 기후·토양·질병에 상당히 민감하다.원두는 납작하고 길며 표면에 파진 홈이 굽어 있고 상당히 붉은 색깔이다. 로부스타종은 잎과 나무의 크기가 아라비카종 보다 크지만, 열매는 리베리카종이나 아라비카종보다 작다. 또한 다 자란 키는 8∼10m이며, 30℃ 이상의 온도에 7∼8일 정도 견딜 수 있고, 기생충과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아라비카종 보다 훨씬 강하다. 로부스타종의 원두는 볼록하고 둥글며 홈이 곧고 회색빛이 도는 푸른색을 띤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교역될 때에는 편의상 콜롬비아 커피를 중심으로 한 마일드(Mild), 브라질 커피를 중심으로한 자연 건조식 아라비카(Arabicas),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한 로브스타(Robustas)의 3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아라비카는 미주지역에서 가장 선호되는 커피로 부드럽고 향기가 있으며, 카페인 함유량이 로브스타보다 적다는 특색이 있다. 로브스타는 커피의 강한 쓴맛을 나타내는 반면 향이 부족한 편이다. 그러나 로브스타는 경제적 이점으로 인스턴트 커피의 주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커피의 특성
1]뜨거운 커피 [Hot Coffee] *로사 멕시카노[Rosa Mexicano] 핑크빛 로사[여성]커피,글라스의 아름다운 칼라를 음미하고 스트로로 우유와 커피의 맛을 함께 즐기는 멕시코 커피이다. *모카 카프리엔디 [Mocha!! Capriend] 초콜릿향의 모카커피에 코코아가루를 넣어 향을 더하고 그 위에 휘핑크림과 아몬드를 얹어 맛이 고소하고 달콤한 커피이다. *비엔나 커피 [Vienna Caffee] 음악의 도시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유래된 커피이다. 300년 전쯤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에는 침공해 온 터키군에게 포위되어 이슬람교도와 기독교도와의 싸움이 격화되어 갔다. 그때 폴란드 태생의 터키군의 통역인인 콜스치즈키[Kolshitzky]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나중에는 오스트리아[연합군 측]의 사자가 된 인물이었다. 1683년 전쟁은 연합군의 승리로 돌아가 터키군은 많은 병기와 군수물자를 남기고 패주했는데,바로 그 전리품 속에 대량의 커피콩이 있었다. 이 커피콩의 이용법은 공교롭게도 단 한사람,터키군에서 일한 적이 있는 콜스치즈키만이 알고 있었다. 그는 비엔나 사람들에게 커피 만드는 법을 가르쳐 주는 동시에 직접 비엔나 커피하우스를 열어 터키 커피를 제공했다고 한다. 그러나 비엔나 커피라는 이름을 가진 커피는 빈에는 없으며, 단지 이곳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이름일 뿐이다. 300년 전통이 넘는 역사를 지니고 있다. 차가운 생크림의 부드러움과 뜨거운 커피의 쓴맛,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차츰 전해지는 단맛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 한 잔의 커피에서 세가지 이상의 단계적인 맛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비엔나 커피의 매력이다. *버터 커피 [Butter Coffee] 추운 겨울에 마시는 고소하고 열량이 높은 커피이다.커피가 식으면 버터가 컵 주위에 붙으므로 뜨거울 때 빨리 마신다. *터키시 커피 [Turkish Coffee] 터키식 커피의 제조방법이 인류가 처음으로 커피를 마셨던 방법이라고 전해 지고 있다. 이브리크라고 하는 동[구리]의 손냄비에 커피가루와 물을 넣어 달여서 그 윗물만 컵에 따른 후 단맛이 강한 터키설탕을 머금고 커피를 마시면서 쓴맛을 즐기는 스타일이다. 윗물을 따른 나머지를 다시 끊여 거품이 일 게 해서 그것을 컵 위부터 따른 이탈리아의 에스프레소 커피의 원형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스노우 커피 [Snow Coffee] 비엔나 커피의 응용으로 눈처럼 흰 휘핑크림 위에 코코아가루를 뿌린 달콤하고 부드러운 커피이다. *아인슈파이너 [Einspanner] 아메리칸 커피가 아메리카의 커피숍에 없는 것과 같이 비엔나 커피도 빈의 카페에는 없다. 빈에서 마시고 있는 휘핑크림을 띄운 커피를 '빈 풍 커피'의 의미로 비엔나 커피로 부르고 있다. 이것은 쓴맛이 강한 커피와 같은 양의 휘핑크림을 띄운 위에 깎은 초코를 넣은 디저트격인 커피이다. *스파이스 커피 [Spice Coffee]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추출한 커피에 휘핑크림을 얹고 꿀과 계피스틱으로 장식한 커피이다. 이 커피는 아라비아에서 처음 커피를 마시기 시작할 때 생겨났다. *에스프레소 젤라틴 [Espresso Gelatin] 이탈리아풍의 빈 커피로 불린다. 뜨거운 에스프레소 커피 위에 젤라틴이 녹아서 크림처럼 된다. 찬 젤라틴이 뜨거운 커피 위에 떠서 재미있는 모양을 만들고, 또 젤라틴의 단맛이, 쓴맛이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와 잘 어울린다. *스파이스 커피 카푸치노 [Spice Coffee Cappuccine] 스파이스 커피와 카푸치노의 응용커피는 향신료를 넣어 추출하고 거품을 낸 우유를 위에 얹는다. 휘핑크림 위에 상큼한 마멀레이드를 얹는다. *카페 그린 [Caf'e Green] 녹차가루의 은은한 향이 커피와 어우러져 그 맛이 매우 매력적인 커피이다. 서인도풍 밀크 커피 [West Indian Milk Coffee] 카페오레의 응용으로, 달콤한 밀크커피에 소금, 꿀을 넣고 휘핑크림을 얹는다. *카페 에스프레소 [Caf'e Espresso] 본격적인 이탈리안 커피로 '크림 카페'라고도 한다. 이탈리아에서는 식후에 즐겨 마시는데,피자와 같은 지방이 많은 요리를 먹은 후에 적합한 커피이다. *중국식 밀크 커피 [Chinese Milk Coffee] 카페오레의 응용이다. 달콤한 밀크커피에 구기자향을 넣고 휘핑크림을 얹는 커피이다. *카페오레 [Caf'e Au Lait] 프랑스식 모닝 커피로 카페오레는 커피와 우유라는 의미이다. 영국에서는 밀크커피, 독일에서는 미히르카페, 그리고 이탈리아에서는 카페라테로 불린다. 겨울에는 뜨겁게 해서 마실 수도 있다. 카페오레는 우유를 넣은 커피.보통 에스프레소 같은 진한 커피를 즐기는 유럽인들이 아침에 위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 만들어 마시기 시작했다. 특히 프랑스인들은 카페오레와 초승달 모양의 빵인 크루아상으로 아침을 연다. 여름엔 차게, 겨울에 뜨겁게 해서 계절의 구애를 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커피이다. *카페 프리덤 [Caf'e Freedom]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추출한 커피에 코코아가루와 생크림으로 부드러운 맛을 더하고 휘핑크림과 계피스틱으로 장식한 키피이다. *카페 카푸치노 [Caf'e Cappuccino] 20세기 초기에 이탈리아인에 의해 발명한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에 의해 카프치노가 발명되었다. 열기에 거품을 일어 우유를 커피 위에 흘린다. 접시에 쵸콜렛과 시나몬을 끼얹어 만든다. 이때 색이 수도승의 머리도포와 닮아 있는 것이 이름의 유래라고 말한다. 1906년 밀라노에서 열린 박람회에서 처음 등장한 커피이다. 그 전까지는 진하디 진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마시고 있었는데 당시 박람회에서 출전 기계의 스팀으로 우유를 거품내어 커피에 더하였다. 그 모습이 마치 이슬람교 종파의 하나인 카프치노 교도들이 머리에 흰 머리수건을 두른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카프치노'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미국에 전해진 이 커피는 시나몬 가루나 초콜릿 가루를 뿌려 마셨다. 기호에 따라서는 레몬이나 오렌지의 껍질을 갈아서 얹기도 한다. *카페 플라밍고 [Caf'e Flamingo] 비엔나 커피의 응용이다. 휘핑크림 위에 정열적인 붉은색체리를 올려 보기에 화려하고 맛은 상큼하다. 커피 에그녹 [Coffee Egg*nog] 온도를 너무 올려 계란노른자가 익어 굳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한다. 이 커피는 미국에서 겨울에 카페나 바 메뉴로 제공되고 있다. *커피 앤 초콜릿 커피 [Coffee &Chocolate Coffee] 카페오레의 응용이다. 달콤한 밀크커피에 코코아가루와 버터를 녹이고 휘핑크림을 얹는다. *핫 모카 자바 [Hot Mocha!! Java] 초콜릿을 넣은 핫 모카 자바는 옛날 자바섬에서, 초콜릿을 많이 먹는 네덜란드 사람들이 이 형태의 커피를 즐려 마셨다는 데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서양에서는 이를 핫 모카 또는 그냥 모카라고 부르는데, 이 명칭은 보통 초콜릿을 넣은 커피에 붙여지며 때로는 커피를 총칭하거나 최상품의 커피에 붙여지는 이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나 일본에서 '모카'라 하면 모카 항에서 수입된 단종의 커피를 가르킨다. 러시산 커피라고도 불리는 핫 모카 자바는 러시아와 같은 추운 지역에서 주로 애용되고 있다. *티 카페 [Tea Caf'e] 물 대신 커피로 홍차를 우려내 홍차와 커피의 향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커피이다. 홍차를 우려내는 시간이 길수록 커피맛보다 홍차맛이 진해지고 떫은 맛까지 나므로 주의해야 한다. *피넛 커피 [Peanut Coffee] 피넛 버터를 녹인 밀크 커피 위에 휘핑크림을 얹은 진하고 부드러운 맛의 커피이다. *하와이안 밀크 커피 [Hawaiian Milk Coffee] 카페오레의 응용이다. 달콤한 밀크 커피에 휘핑크림을 얹고 코코아가루를 뿌린 커피이다. 2]차가운 커피 [Ice Coffee] *아이스 커피 [Ice Coffee] 여름철에 쉽게 즐겨 찾는 아이스커피의 생명은 커피의 쓴맛에 있다. 따뜻한 커피에 비해 향은 적지만 여름철의 갈증과 더위를 식히기에는 충분하다. 아이스 커피는 여름철에 가장 많이 찾는 커피 메뉴로서, 미국에서는 콜드 커피[cold coffee], 일본에서는 쿨 커피[cool coffee]라고 불린다. *바나나 모카 쿨러 [Banana Mocha!! Cooler] 커피와 바나나의 조화가 잘 어우러져 초코와 우유가 그 맛을 한결 부드럽게 해준다.중남미 여러 나라에서 즐겨 마신다. *블랙 앤드 화이트 [Black &White] 글라스의 아랫부분에는 블랙 커피,윗부분에는 연유와 휘핑크림이 섞인 희크림을 담아 뚜렷한 대비를 이루게 한 음료이다.연유를 많이 넣으면 단맛이 강해진다. *터키시 콜라 플로트 [Turkish Cola Float] 미국 남부에 이주하여 정착한 사람들에 의해 마셔지고 있는 새로운 방식의 커피이다. *커피 밀크 쉐이크 [Coffee Milk Shake] 우유와 아이스 커피 원액을 쉐이커에 넣고 흔들어 만드는 여름철 음료로, 부드럽고 시원하다. *커피 플로트 [Coffee Float] 크림커피와 일명 카페 그랏세, 카페 제라틴으로 불리며, 아이스크림이 들어 있는 커피이다. 섬처럼 떠 있다는 뜻을 갖는 프로트에서 알 수 있듯, 커피 플로트는 검은 아이스 커피 위에 하얀 아이스크림 같은 재료를 띄운 것이다. 커피 플로트는 일명 카페 글라세라 불리며, 흔히 여름철에 찬 음료로 많이 애용한다. *커피 플로트 온 더 커피 [Coffee Float on the Coffee] 아이스 커피 위에 아이스크림과 휘핑크림을 얹은 시원하고 달콤한 커피이다. *커피민트 줄렙 [Coffee Mint Julep] 줄렙이란 위스키에 설탕, 박하 등을 탄 청량음료로 커피 민트 줄렙은 열대 지방의 트로피컬 커피에 해당한다. 화이트 민트를 첨가한 아이스 커피이다. 열대지방 사람들은 커피와 홍차속에 박하[민트]를 더한 산뜻한 맛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매운 요리를 즐겨 먹기 때문에 입맛을 바꾸기 위해서이다. *하와이안 커피 프로스티 [Hawaian Coffee Frostied] 하와이안 커피 프로스티드는 파인애풀을 사용한 아이스 커피로서 라틴 아메리카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료이다. '하와아안'이라 해서 하와이의 요리나 그 음료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라틴 아메리카 사람들은 느긋하게 점심을 먹고 낮잠을 자고 난 뒤 마시는 음료로 이용한다. 보통 아이스 커피와 파인애플을 어울려 먹지만 그밖에는 레몬, 라임, 오렌지, 파파야 등을 곁들인다. *커피 스노 볼 [Coffee Snow Ball] 커피 스노 볼은 아이스 커피와 아이스크림의 조화가 매력적이다. 이것은 원래 빙수 얼음과 아이스크림, 연유를 이용한 커피인 '커피 플라페'를 응용한 것, 어린아이와 여성에게 알맞은 메뉴이다
커피 만들기 1. Hot Beverages
카페 아메리카노 슬리브 + 뜨거운 물 + 샷 * 컵 위에서 1cm 하단
카페 라떼 샷 + 스팀우유( 컵 위에서 1cm 하단) +우유거품
카푸치노 샷 +스팀우유( 컵7-8 정도) +우유거품( 컵 나머지) +계피가루
카페 모카 초코 시럽 ( S 1펌프, M 1.5 펌프, G 2펌프 )+ 샷 +스팀우유 (컵 상단 2cm) + 휘핑크림 +초코 가루
라즈베리 카페모카 초코 시럽 +( S 1펌프, M 1.5 펌프, G 2펌프 ) + 라즈베리 시럽 + 샷 +스팀우유 (컵 상단 2cm) + 휘핑크림 +라즈베리 시럽 토핑
화이트 모카 화이트 초코 (S 2펌프 , M 3펌프 , G 4펌프)+ + 샷 +스팀우유 (컵 상단 2cm) + 휘핑크림 +화이트 초코시럽 토핑
* 라떼 , 카푸치노는 컵에 우유를 조금 부은 후에 샷을 넣는다. 모카, 라즈베리 등 시럽을 먼저 넣는 제품은 시럽 때문에 샷을 먼저 넣는다. 아메리카노는 물을 먼저 넣고 샷을 넣는다.
에소프레소 에소프레소 샷
에소프레소 콘파나 에소프레소 + 휘핑크림
에소프레소 마끼야또 에소프레소 + 우유거품 * 에소프레소는 잔을 뜨거운 물에 데운 후 샷을 넣는다
카라멜 카페 라떼 샷 + 스팀우유( 컵 위에서 1cm 하단) +우유거품+ 카라멜소스 토핑
카라멜 카푸치노 샷 +스팀우유( 컵7-8부정도) +우유거품( 컵 나머지) +카라멜소스 토핑
카라멜 카페모카 초코 시럽 ( S 1펌프, M 1.5 펌프, G 2펌프 )+ 샷 +스팀우유 (컵 상단 2cm) + 휘핑크림 +카라멜소스 토핑
카라멜 마끼야또 바닐라 시럽 ( S 1펌프, M 1.5 펌프, G 2펌프 ) +스팀우유 (컵 중간) +우유 거품 + 샷 + 카라멜 토핑 * 카라멜 라떼 카푸치노는 우유를 조금 부은 후에 샷을 넣는다. |
'살~맛나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에 역행하는 그는 우리에게 CEO 이다 (0) | 2015.08.11 |
---|---|
[스크랩] 더 이상은 아프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0) | 2013.11.08 |
[스크랩] 어느 날 닥친 화재는 아이들의 미소를 잃게 만들었습니다. (0) | 2012.12.04 |
워낭소리 (0) | 2009.02.14 |
[스크랩] 오드리헵번이 가장 아름다웠던 시절은 아프리카에서 봉사 였지요 (0) | 200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