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고장 대처법 | 컴퓨터관련상식
http://blog.naver.com/sjeyun/120009349574
컴퓨터 사용중 문제가 발생했을 때 약간의 지식만 가지고 있다면 쉽게 스스로 조치할 수 있는 부분이 너무 많습니다. 컴퓨터는 가전제품과 달라서 언제나 에러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 자체의 고장이 아니라면 분명 어딘가에 해결책이 있게 마련입니다. 너무 섣불리 고장이라고 판단하여 포기하는 우를 범하지 말고 증상을 자세히 살핀 다음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스스로 해결해보도록 합시다.
컴퓨터가 안켜진다
케이스의 LED에 불빛은 들어오는데 아무소리도 나지 않는다.
슬롯에 카드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았다.
케이스 등의 LED에 불빛이 들어오지 않는다.
전원이 연결되지 않았거나 파워서플라이가 고장났다.
"삑" 하는 신호음을 낸다.
( 이 경우 해당 부품을 슬롯에서 제거한후 다시 잘 꼽아주면 된다.)
램 불량 : 삑-삑-삑- 길게 세 번
CPU 불량 : 삑 소리 없이 컴퓨터가 가만히 있고 모니터도 화면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픽 카드 불량 : 삑- 삑삑삑(길게 한번 짧게 세 번)
특정 주변기기의 고장이나 카드간에 충돌이 일어난다.
COMS - POWER BUTTON 기능을 INSTANT on/OFF로 변경한다.
하드디스크
HDD CONTROLLER FAILURE
하드웨어적인 에러로 하드 디스크 케이블의 문제이거나 HDD의 문제. 주로 CMOS에서 하드디스크를 제대로 인식시키지 못해서 발생하기도 한다.
MISSING OPERATING SYSTEM
하드디스크 점퍼 설정, CMOS 정보의 오류나 시스템파일의 손상 때문이다. 또는 일반 디스켓이 꼽혀있는 경우이다.
DISK BOOT FAILURE
시스템 파일의 손상이나 디스크 손상으로 발생된다. 디스켓이 삽입된 경우
NO ROM BASIC HALTED
부트 파티션이 활성화되지 않았다. 보드 클리어를 해본다.
DRIVE FAILURE INVALID CONFIGURATION PRESS [F1] TO CONTINUE
CMOS에 설정한 하드 디스크 정보의 오류나 점퍼 설정의 문제이다.
HDD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PRIMARY SLAVE HDD HARDDISK FAILURE
하드디스크에 연결된 케이블의 문제이다.
HDD AUTO DETECTION에서 하드를 다시 인식시킨다.
점퍼설정을 확인한다.
하드렉에 들어있는 하드디스키가 과열됐다. 하드렉중에는 잠금장치를 잠궈야지 전원이 들어오는 제품도 있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문제이다.
소음
평소에 비해 소음이 크고 이물질이 걸리는 소리가 난다.
쿨링팬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있다.
컴퓨터 케이스의 진동이 심하다.
돌아가는 쿨링팬이 이물질에 걸려 케이스를 움직인다.
냉각 효과가 별 도움이 안돼 시스템이 자주 다운된다.
쿨링팬의 베어링이 마모됐다.
쿨링팬이 아닌 CPU근처에서 덜덜거리는 소리가 난다.
CPU의 열을 식혀주는 쿨러가 내부 테이블 등과 마찰하며 소음을 발생한다.
진동
전원을 넣는 순간 케이스 전체가 심하게 덜덜거린다.
쿨링펜이 케이스에 단단히 고정해 있지 않다.
CD-ROM드라이브에 CD를 삽입하는 순간 드라이브 전체가 떨린다.
CD-ROM 드라이브가 베이에 단단히 고정돼 있지 않다.
하드디스크가 동작 중일 때 드라이브가 진동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베이 사이에 공간이 있다.
부팅시 항상 cd-rom 드라이브를 오래 읽고 시작한다.
제어판 - 시스템 - 등록정보 - 성능 - 파일시스템 - cdrom 항목에서 '미리읽지 않음'으로 선택하고 부팅해본다.
모뎀
포트가 열려있다는 메시지가 나타나며 모뎀을 사용할수 없다.
COM 포트에 마우스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장치를 연결하지 않는다면, 바이오스에서 [Onboard Serial Port] 기능을 disable로 설정하여 2개의 COM포트 모두 다른 장치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두는 것이 좋다.
모뎀을 찾을수 없거나 모뎀을 새로 설치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윈도 98 설치 CD의 Unimdem.tsp 파일을 설치된 파일 위에 덮어씌운다.
통신 에뮬레이터를 실행하면 마우스가 멈춰버린다
마우스와 모뎀이 같은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컴퓨터에 설치된 모뎀을 인식하지 못한다.
모뎀이 사용하는 포트를 다른 주변기기가 이미 점유하고 있다.
모뎀과 디지털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모뎀과 시리얼 포트가 서로 충돌한다. 충돌하는 시리얼포트를 CMOS SETUP에서 DISABLE로 설정한다.
그래픽카드
일부 도스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화면이 심하게 흔들린다.
프로그램의 환경설정에 오류가 있다. 도스용 프로그램에서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바르게 설정한다.
그래픽 카드가 지원하는 해상도인데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설치에 오류가 있다.
인터넷접속후 갑자기 화면이 정지한다.
일부 그래픽 카드 칩셋에서 발생되는 문제이다.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에서 글꼴 크기를 변경한다.
다른 모니터로 교체한후 화면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안전모드로 들어가서 기존의 모니터 드라이브를 삭제한후 재부팅하면서 바뀐 모니터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소리
윈도우에서 다양한 효과음이 들리지 않는다.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 설정에 오류가 있다. 드라이버를 재설치 한다.
TV수신음이 들리지 않는다.
TV수신카드의 스피커 단자와 사운드 카드의 "라인 인" 단자와의 연결단자를 확인한다.
CD 음악이 나오지 않는다.
CD-ROM과 사운드 카드와의 오디오 케이블 연결을 확인한다.
도스에서 사운드가 나오지 않는다.
NP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도스용 드라이버를 띄워준다.
플로피 디스크
A, B 드라이브가 반대로 인식된다.
케이블의 연결을 반대로 했거나 CMOS SETUP 의 설정 때문이다. CMOS 셋업에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SWAP 항목을 "enable"로 설정한다.
부팅후 드라이브의 LED에 불이 계속 들어와 있다.
34핀 케이블을 반대로 연결했다.(홈을 확인한 후 제대로 연결한다)
모든 디스켓을 인식하지 못한다.
드라이브 자체의 고장이다.
간혹 CMOS에서보면 "SECURITY AND ANTIVIRUS"항목에서 "DISKETTE ACCESS"항목이 있는 경우 USER로 되어 있어야 모든 사람이 플로피를 사용할수 있는 경우도 있다.
cmos setup에서 integrated peripherals 항목에서 onboard FDC controller 항목을 enable로 설정.
디스켓을 쓰다가 INVALID MEDIA OR TRACK O BAD 라는 메시지가 뜬다.
미디어(디스켓)에 문제가 있거나, 0번 트렉에 배드섹터라는 emT이다. 이 메시지가 나타나면 해당 디스켓을 읽을 수 없고, 포맷이 되지 않는다. 디스크 드라이브나 디스켓이 불량이거나 디스켓을 자석 근처에 두어서 불안정해진 것이다. 오랫동안 디스켓을 쓰지 않아도 그런 문제가 생긴다. 포맷조차 할 수 없다면 버리는 수밖에 없다.
마우스
마우스가 제대로 연결됐는지 확인한다.
이상이 없으면 마우스 드라이버가 손상됐을 경우 MOUSE.DRV 파일을 복구시켜준다.
SFC를 이용하면 쉽게 복구가 가능하다.
모니터
전압불안정, 주사율설정이 잘못, 자성체 영향
1. 부팅에 문제가 있습니까?
하드웨어적인 고장의 대부분은 부팅과 관련됩니다. 부팅과 관련된 에러와 해결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전원을 넣어도 아무 반응이 없다.
상태 : 케이스에 LED에 불빛은 들어오는데 아무소리도 나지 않는다.
원인 : 슬롯에 카드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았다.
해결 :각 슬롯에 카드가 제대로 삽입됐는지 확인합니다. 카드끝의 도금된 부분이 슬롯에 완전히 가려져 보이지 않을 정도로 삽입해야 합니다. 같은 증상이 계속해서 발생 할 때는 모든 카드를 제거한 후 그래픽 카드만을 삽입하여 테스트한 후 차례대로 제거한 카드들을 삽입하면서 문제된 카드를 찾습니다. 특정카드의 고장은 구입처에서 개별 A/S를 받을 수 있습니다.
상태 : 케이스 등의 LED에 불빛이 들어오지 않는다..
원인 : 전원이 연결되지 않았거나 파워서플라이가 고장났다.
해결 : 컴퓨터에 전원이 연결됐는지, 적정전압이 얼마인지 확인합니다. 파워서플라이 자체의 고장으로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때는 구입처에서 A/S를 받으면 됩니다.
상태 : 부팅 시키자마자 처음부터 계속 불이 들어와있다면....
원인 : 데이터케이블 연결불량(반대로 꽂은 경우)
해결 : 데이터케이블을 바로 꽂는다.
상태 :'삑'하는신호음을 낸다..
원인 : 램,CPU,특정 주변기기의 고장이나 카드간에 충돌이 일어난다.
해결 : 신호음이 두 번 '삑삑' 울리는 것은 램에 이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램 자체의 고장일 수도 있고, 메인보드와 램이 서로 충돌하거나 램의 조합을 잘못한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즉 다른 제조사의 램을 혼용하거나 EDO램과 DRAM을 같이 사용할 때 시스템에 따라 에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메인보드 제조사에 램의 조합에 대해 미리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 알아둡시다! 소리로 알아보는 문제점 ★
시스템에서 삑소리가...
한번 나면 - 메인보드의 메모리 리프레쉬 회로의 에러
두번 나면 - 패리티 에러
세번 나면 - 램이 잘못 장착
네번 나면 - 타이머가 제대로 작동치 않음
다섯번 나면 - CPU의 잘못된 장착 또는 결함
여섯번 나면 - 바이오스가 CPU를 프로텍티드 모드로 전환하지 못함
일곱번 나면 - CPU가 이례적인 인터럽트 발생
여덟번 나면 - 비디오 카드의 잘못된 장착 또는 메모리 불량
아홉번 나면 - 롬 체크섬의 값이 바이오스 내용과 다름
열번 나면 - 레지스터의 결함
-------------------------------------------------------------------------------------------
상태 : Beep음이 없다.
원인 : 컴퓨터케이스에 기본적으로 장착이 되어있는 PC-Speaker를 일부러 메인보드와 연결시키지 않았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장 심각한 상황입니다.
해결 : 파워팬이 돌아가는 소리는 들리는데 아무런 반응이 없는 경우는
1) 전원을 잘못 연결했거나
2) 드라이브의 데이터케이블이 반대로 연결됐거나
3) Case와 메인보드의 접지가 불량해서 Short가 났거나
4) CPU를 확실하게 꽂지 않고 걸쳐두었다거나 소리가 나지 않을 때는 재빨리 전원을 제거하고 제일 먼저 접지가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위의 내용들을 꼼꼼히 점검을 합니다.
상태 : 리듬이 있는 반복 - 삑 삐비빅 삑 삑!!
원인 : 그래픽카드쪽의 이상입니다. 처음 조립을 하다보면 자기자신은 잘 꽂았다고 생각을 하지만 그래픽카드가 제대로 안 꽂혀서 에러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결 : 그래픽카드를 빼서 카드를 꽂는 메인보드의 슬롯에 뭐가 끼어있는지 한 번 불어주고 잘 꽂아줍니다.
상태 : 소리는 나는데 모니터 화면에 아무런 내용도 출력하지 않는다.
원인 :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 커넥터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모니터의 고장입니다.
해결 : 모니터와 그래픽 카드간에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됐는지 확인하고 모니터에 전원이 제대로 연결됐는지도 확인합니다. 간혹 모니터의 밝기를 너무 어둡게 해놓아 화면에 아무 영상도 출력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때도 있으므로 모니터의 명암,밝기조절버튼도 확인합니다. - 하드디스크의 부팅 실패
상태 : HDD CONTROLLER FAILURE
원인 : 하드웨어적인 에러로 하드디스크 케이블의 문제입니다.
해결 : 하드디스크에 연결되는 EIDE케이블을 하드디스크의 데이터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시 방향에 유의해야 합니다. 메인보드에 내장된 EIDE컨트롤러 커넥터에 연결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케이블을 자세히 살펴보면 여러 선들 중에서 빨간색이나 파란색으로 색깔이 입혀진 선이 보입니다. 이 선이 바로 1번 선이 되는 것이며, 이 선과 하드디스크의 테이터 케이블커낵터, 메인보드의 EIDE컨트롤러 커넥터의 1번 핀과 일치해야 합니다.
하드디스크의 데이터 케이블 커낵터를 살펴보면 '1'이나 ' '으로 표시된 핀 하나가 보일 것입니다.
그리고 메인보드내의 EIDE컨트롤러 커넥터 역시 '1'로 표시된 핀이 있습니다. 이 곳과 빨간(혹은 파란)색이 일치하도록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케이블을 연결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케이블을 세게 밀어 넣어 커넥터에 완벽히 삽입시킵니다.
상태 : Missing Operating System
원인 : 하드디스크 점퍼설정,CMOS정보의 오류나 시스템 파일의 손상 때문입니다.
해결 : 시스템파일이 손상된 경우에는 부팅디스켓(A드라이브)를 이용해 부팅한 후 시스템파일을 복구합니다.
예) A:>sys c: 부팅할 때 CMOS SETUP으로 들어가 하드디스크 Type이 제대로 기록됐는지 확인합니다. cmos setup을 확인하려면 컴퓨터조립 cmos setup으로 가시면 자세히 설명되어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점퍼설정을 확인하려면 컴퓨터조립으로 가시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상태 : Disk boot failure
원인 : 시스템파일의 손상이나 디스크 손상으로 발생됩니다.
해결 : 디스크의 시스템 파일이 손상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는 부팅에러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이 때는 부팅디스켓을 이용해 부팅한 후 'A:>sys c:'라는 명령을 내려 시스템파일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부팅디스켓에 포함된 'chkdsk'나 'scandisk'등의 디스크 복구 유틸리티로 디스크에러를 확인, 치료해 줍니다.
상태 : NO ROM BASIC HALTED
원인 : 부트 파티션이 활성화되지 않았습니다.
해결 : 파티션 테이블이 바이러스나 기타 외부의 충격으로 파괴될 때 이런 증상이 나타납니다. 우선, 부팅디스켓을 이용해 부팅한 후 FDISK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2번 메뉴를 선택해 ACTIVE 설정 메뉴로 들어가 그곳에서 C드라이브를 Active로 설정합니다. 같은 에러가 계속해서 발생하면 부팅디스켓으로 부팅한 후에 시스템 파일을 복구합니다.
상태 : Invalid partition table
원인 : 파티션 테이블이 파괴됐습니다.
해결 : 이런 경우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의 모든 데이터를 잃어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중요한 데이터라면 수리점에 데이터복구를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 중요한 데이터가 아니라면 부딩디스켓으로 부팅한 후에 FDISK를 실행, 파티션을 다시 설정해야 합니다.
상태 : Drive failure invalid configuration pressto continue
원인 : CMOS에 설정한 하드디스크 정보의 오류나 점퍼설정의 문제입니다.
해결 : CM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 정보를 확인합니다.
상태 : CMOS Memory Size Mismatch
원인 : 시스템 조정과 바이오스 Setup 내용이 잘못 설정되었을 경우에 나타나는 에러메시지, 주로 메모리와 관련된 내용을 변경했을 때 나타납니다.
해결 : 이런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변경내용을 원상태로 해놓고 다시 부팅을 해봅니다.
상태 : Bios ROM Checksum Error - System halted
원인 : 바이오스 코드의 체크썸 값이 비정상적인 경우로 바이오스 루틴이 손상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해결 : A/S를 의뢰해야합니다.
상태 : CMOS Battery State Low
원인 : 컴퓨터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고 방치해두었을 때나 습기로 인해 메인보드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었을경우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해결 : 컴퓨터를 재부팅한 후 바이오스 셋업 화면을 호출해 다시 설정해주고 부팅한 후 컴퓨터를 오랫동안 켜두면 다시 충전이 됩니다.
상태 : CMOS Battery has failed
원인 : CMOS 배터리가 고장났습니다.
해결 : 해당 메인보드회사의 연락처를 수소문해서 A/S를 신청합니다. 상태:CMOS Checksum Failure
원인:바이러스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CMOS에 기록된 내용이 지워졌을 때 나타나는 메시지입니다.
해결:다시 셋업을 해주면 해결이 됩니다.
상태 : System Halted 또는 The System is Unable to continue
원인 : 바이오스의 기능이 정지되었을 때 나타납니다.
해결 : 이때는 단지 전원 스위치를 껐다가 켜주면 됩니다.
상태 : No Boot Device Found
원인 : 운영체제가 없는 경우에 나타나는 메시지입니다.
해결 : 이때는 플로피디스켓이나 하드디스크에 DOS나 다른 운영체제가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운영체제의 시스템 파일이 들어있는 부팅디스켓으로 부팅한 후 시스템파일을 하드디스크로 전송시켜주면 됩니다.
상태 : Disk Boot Failure, Insert System Disk and press Enter
원인 : 대부분 A: 드라이브에 부팅디스켓아 아닌 다른 플로피 디스켓이 들어있습니다.
해결 : 디스켓을 빼내고 다시 부팅을 시키면 되지만 실제 하드디스크에서 부팅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CM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타입이 정확한지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운영체제의 시스템 파일이 손상되었을 경우도 생각해봐야 합니다.
상태 : Diskette drives or Types Mismatch Error - run setup
원인 : 플로피 드라이브의 종류가 잘못 설정되어있습니다.
해결 : 바이오스 셋업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정확한 플로피 드라이브의 타입을 지정해줍니다.
상태 : Keyboard Error 또는 No Keyboard Present
원인 : 부팅할 때 키보드가 연결되어있지 않거나 다른 물체가 키보드 키를 계속 누르고 있을 때 발생합니다.
해결 : 잘 살펴보고 부팅합니다.
상태 : Keyboard is Locked-Unlock it
원인 : 열쇠로 본체 앞면에 있는 키보드 잠금 스위치를 잠궜을 때 나타납니다.
해결 : 다시 풀어주고 부팅하면 됩니다.
상태 : Keyboard Interface Error 또는 K/B Interface Error, Keyboard Controller Error
원인 : 키보드가 고장났을 경우나 연결이 잘못되었을 경우 나타나는 메시지입니다.
해결 : 키보드 연결상태를 확인한 후 다시 재부팅했을 때도 같은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키보드를 바꾸어서 부팅해봅니다. 이때도 동일한 메시지가 나타난다면 키보드 컨트롤러 에러일 수도 있는데 이때는 A/S를 의뢰해야 합니다.
전원을 켠 상태에서 키보드를 빼거나 꼽았을 때도 이런 일이 발생함.
계속 해봐도 안될 때는 다른 키보드를 연결해서 테스트를 해보고 A/S를 신청한다.
상태 : FDD Controller Failure
원인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컨트롤러 이상입니다.
해결 : 컨트롤러를 교체해야 합니다.
상태 : Floppy disk(s) Fail
원인 : 플로피 드라이브나 그 제어기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이거나, 초기화에 실패한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해결 : 플로피 드라이브의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플로피 드라이브가 장착되어있지 않다면 바이오스 셋업화면에서 플로피드라이브를 None 이나 Auto 로 선택하고 저장, 재부팅합니다.
상태 : Hard disk initializing, Please wait a moment
원인 : 하드디스크의 종류에 따라서 초기화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것도 있습니다.
해결 : 기다리시면 됩니다.
상태 : Hard Disk Install Failure
원인 : 하드디스크나 제어기를 발견할 수 없거나 초기화에 실패한 경우나 대부분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해결 : 케이블이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바이오스 셋업에서 하드디스크가 잡히지 않는 경우에는 Auto나 None으로 설정합니다.
상태 : Hard Disk Unit 0(1) Failure 또는 C:(D:)Drive Failure
원인 : 하드디스크와 컨트롤러의 연결이 잘못 되었을 경우에 나타납니다.
해결 : 컨트롤러와 하드디스크와의 접속부분을 다시 한 번 확인합니다.
상태 : Hard Disk Unit 0(1) Error 또는 C(D:) Drive Error
원인 : 하드디스크와 컨트롤러의 연결이 잘못 되었을 경우나 하드랙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하드디스크를 연결했다가 뗐거나 하는 경우 이런 일이 발생합니다.
해결 : CMOS Setup에 하드디스크 정보가 제대로 되어있는지 IDE HDD Autodetection 등을 이용해 정보를 갱신해주고 실제 없는 디스크는 정보에서 제거해줍니다.
상태 : Memory Address Error at XXXX
원인 : XXXX메모리 번지에서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해결 : 메모리가 정확히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에러가 발생한 메모리 모듈을 교체합니다.
상태:Memory parity error at XXXX
원인:XXXX메모리 번지에서 패러티 애러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해결:메인보드에서 지원가능한 메모리인지를 확인하시고 메모리 모듈이 정확히 설치되어있는지도 확인합니다. 에러가 발생한 메모리 모듈을 교체합니다.
상태 : 컴퓨터의 부팅이 안 되는 경우(1)
원인 :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입니다.
해결 : 일단 PC의 전원을 끄고 바이러스에 감염이 안된 부팅 디스켓으로 부팅시킨 뒤 바이러스 치료 프로그램으로 치료해보고 다시 부팅 합니다. 바이러스 치료 후에도 부팅이 안 되는 경우 웬만한 바이러스는 치료가 가능하지만 치료를 했는데도 부팅이 안 되는 경우는 부트섹터에 바이러스가 감염된 경우입니다. 이럴 때 잘못하면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이 파괴될 수도 있습니다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되는 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는 최신의 백신 프로그램으로 치료를 하여 보고 그래도 부팅이 안될 때는 Lowlevel Format을 해야합니다.
상태 : 컴퓨터의 부팅이 안 되는 경우(2)
원인 : 파티션이 잡히지 않은 경우입니다.
해결 : 이러한 경우는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던 경우나 사용자가 실수로 파티션을 지운 경우에 나타납니다. 일단 도스 디스켓으로 부팅한 후 FDISK 파일을 이용하여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을 잡습니다. 파티션을 활성화 한 후에 다시 시스템 포맷을 하여 사용합니다.
상태 : 컴퓨터의 부팅이 안 되는 경우(3)
원인 : 시스템 파일만 삭제되어 부팅이 안 되는 경우입니다.
해결 : 시동디스크가 있는 경우에는 시동 디스크로 부팅을 한 후 하드디스크로 시스템을 옮김니다. 시동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는 시스템이 있는 다른 하드디스크로 부팅후 시스템을 복사합니다.
상태 : 컴퓨터의 부팅이 안 되는 경우(4)
원인 : CMOS 램의 데이터가 깨진 경우입니다.
해결 : 컴퓨터의 전원을 넣으면 메모리를 체크하는 사이에 'DEL' 키를 누르고 자기 시스템에 맞추어 조정한 후 다시 켜면 됩니다.
상태 : 컴퓨터의 부팅이 안 되는 경우(5)
원인 : 하드디스크가 불량인 경우입니다.
해결 : 하드디스크의 부트섹터가 파괴된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하드디스크의 복구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PC Tool 이나 NORTON 등으로 복구하여 보고 복구가 되지를 않으면 A/S를 맡기거나 새로 구입하여야 합니다.
상태 : FDISK 작업과 FOTMAT 작업을 모두 했는데, 부팅이 되지않는경우
원인 : 사용자의 실수 또는 고장에 의한 경우입니다. 사용자가 2개 이상의 하드를 사용하는경우에 Master HDD를 부팅 가능하게 활성화를 시켜주어야 되는데 그것을 체크하지 못해서 활성화 시켜주지 못했을 경우에 발생합니다.
해결 : 고장에 의한경우는 HDD에 관련된 부분이 제대로 동작을 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경우인데, 이경우는 우선 케이블점검, 파워선 재확인, HDD 불량 유무를 확인하여 처리하면 됩니다.
상태 : A 드라이브로 부팅만 하면 HDD를 인식하지 못한다.
원인 : 몽키바이러스일 확률이 높습니다. 몽키바이러스의 증상이 이와 같습니다.
해결 : 몽키바이러스라 하더라도 치유가 될 수 있는 경우가 있므로 바이러스 체킹을 해야 하는데, 플로피로 부팅하면 HDD를 인식 못하게 되는데. 이럴 때에는 조금 위험한 방법인데 다른 컴퓨터에 HDD를 붙여서 플로피로 부팅한후에 나의 HDD를 바이러스검사를 해 봅니다. 만약에 몽키바이러스로 나타나면, 우선 치료를 해보고 다시 플로피로 부팅을 해서 바이러스 검사를 해보아 잡혔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계속해서 바이러스가 나타난다면 가차없이 HDD를 포맷해야 할 것입니다. 간혹 포맷을 해도 같은 증상이 나는 경우도 있다는데, 그런 경우에는 Low Level 포맷을 해보아야 합니다.
상태 : 부팅이 진행되는 도중에 연장메모리를 사용 할 수 없다는 메세지가 나온다.
원인 : himem.sys가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해결 : himem.sys를 다시 복사해 줍니다. 그래도 같은 메세지가 나올 경우에는 config.sys상에 다음과 같은 명령을 추가해 봅니다. deivce=c:doshimem.sys /machine:1 이것은 himem.sys가 컴퓨터의 기종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처리를 하지 못하는 경우 강제적으로 컴퓨터의 기종을 IBM호환기종으로 맞추어 주는 것입니다.
상태 : Incorrect Dos version 에러메세지
원인 : 사용하려는 도스 명령어가 지금 현재 사용 중인 도스 명령어의 버전과 맞지 않았을 때 표시 되어지는 에러 명령어입니다.
해결 :도스의 버전을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도스 명령어와 같은 버전의 시스템화일, 즉 IO.SYS , MSDOS.SYS , COMMAND.COM , DBLSPACE.BIN을 현재 사용할 시스템에 복사해 주어야 하는데 복사해 주는 방법은 사용하고자 하는 도스버전의 부팅디스켓으로 부팅 한 후에 SYS C: 라는 명령어로 하드디스크에 시스템화일을 전송해 주면 됩니다.
상태 : Error loading operating system 에러메세지
원인 :운영체계(dos, windows)가 깨졌을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 메시지로, 심하면 부트레코드가 파괴되었을 때도 나타납니다.
해결 : 바이러스 검사를 해보고, 이상이 없을 때에는 시스템화일을 다시 전송해 줍니다. 그래도 이상이 계속된다면 scandisk등의 복구 프로그램으로 부트레코드 파손여부를 판별하여 대처해 나가야 합니다.
상태 : Invaild partition table 에러메세지
원인 : 바이러스나 기타의 경우로 파티션 테이블이 파손되어 생기는 에러메세지입니다.
해결 : FDISK나 기타 복구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복구하여 주면 됩니다. 그러나 파티션을 새로 잡아주어야 하는 경우라면 예전에 있던 Data들이 지워지게 되므로 다른 곳에다 백업을 해준 다음에 작업을 진행시켜서 Data를 잃어버리는 일이 없게 해줍니다. 만약 HDD 자체로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라면 모든 Data는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항상 Data를 백업해두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상태 : 컴퓨터내에 필요없는 프로그램을 삭제한후 MS Word, Excel 등 프로그램의 실행이 되진않고 실행초기에 "OLE 2.0 초기화 실패, OLE 라이브러리 버젼을 확인하세요" 라고 만 뜨고 더 이상 모든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지 않는다.
원인 : 프로그램을 삭제시킬적에 ole관련 파일을 삭제시켜서 그러한 증세가 나타납니다. ole는 한 개의 파일이 하나만 사용하는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파일이 공유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ole파일을 삭제시키면 이와 관련이 있는 프로그램도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해결 : ole 설치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거나 MS Word나 Excel을 다시 설치합니다.
top
2.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있습니까?
하드 디스크 자체의 고장은 전문 A/S센터에 맡겨야 할 정도로 고치가 어렵습니다.하지만 자주 접하게 되는 하드 디스크 고장은 인식에러, 소음문제, 배드섹터등의 간단한 에러로,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자주 접하게 됩니다. 하드디스크의 에러와 그 해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인식이 안되는 하드 디스크
상태 : CMOS SETUP에서 하드 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한다.
원인 : 하드 디스크에 연결된 케이블의 문제입니다.
해결 : 하드 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을 때 가장 먼저 점검할 것은 CMOS SETUP의 내용입니다.
CMOS SETUP의 'STANDARD CMOS SETUP'의 메뉴를 통해 하드 디스크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하드 디스크의 종류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았다면 'IDE HDD AUTO DETECTION'메뉴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를 자동으로 인식시킬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도 인식이 안될 경우는 내부케이블의 연결 오류 때문입니다. 하드 디스크의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됐는지 확인합니다. 이때 케이블 한쪽의 빨간색선이 하드 디스크의 1번 핀과 일치해야 합니다. 점퍼설정 오류도 하드 디스크 인식에 문제를 끼칠 수 있습니다.
케니블의 끝에 위치한 커넥터는 Master, 중간커넥터는 Slave입니다. 이것에 유의하며 하드 디스크 점퍼를 설정합니다. 파워케이블이 제대로 꽂히지 않았거나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파워 케이블은 반대로 꽂으면 삽입되지 않으니 모양을 확인면서 꽂습니다.
상태 : 하드랙을 설치한 후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다.
원인 : 하드랙에 들어있는 하드디스크가 과열됐습니다.
해결 : 하드디스크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출되지 못해 에러를 유발하므로 하드랙은 가급적 팬이 달린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드랙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아직 완벽하지 않아서 시스템에 따라 하드디스크에 무리를 주기도 하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하드랙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태 : 하드디스크를 장착했는데 전체 용량을 인식하지 못한다.
원인 : CMOS SETUP에서 하드 디스크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해결 : CMOS SETUP을 이용해 하드디스크를 자동으로 설정해 줍니다. CMOS SETUP에 이상이 없다면 바이러스 문제입니다. 백신프로그램을 이용해 수리한 후에도 같은 증상이라면 로우레벨 포맷을 해봅니다. 이전에 다른 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를 테스트해서 자체의 문제인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상태 : 디스켓으로 부팅한 후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한다.
원인 :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문제입니다.
해결 :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는 대부분 시스템 파일의 손상에서 비롯됩니다. 이런 문제는 디스켓으로 부팅한 후에 A:>sys c: 등의 명령으로 복구해줄 수 있습니다. 만일 하드디스크로 부팅은 되는데 디스켓으로 부팅했을 때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부팅디스켓으로 부팅후 백신프로그램을 이용해 하드디스크의 바이러스를 검사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 소리내는 하드디스크
상태 : 하드디스크 사용 중 심한 소음이 발생한다.
원인 : 하드디스크가 베이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았습니다.
해결 : 하드디스크는 본래 모터가 쉴새 없이 동작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합니다. 소음을 나름대로 줄여보는 방안으로 하드디스크를 베이에 단단히 고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경우 나사로 너무 심하게 하드디스크를 조이면 디스크 동작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해 보세요.
상태 : 갑자기 '띵'하는 소리와 함께 하드디스크의 모니터가 꺼진다.
원인 : 하드디스크에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합니다.
해결 : 파워서플라이� 전력공급이 불안정하면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것은 하드디스크이므로 하드디스크는 다른 주변기기에 비해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중요합니다. 주변기기가 많을 때는 용량이 300W이상인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태 : 부팅후 '딱딱'하는 소리와 함께 하드디스크 인식과정이 실패한다.
원인 :구동 모터의 수명이 다했습니다.
해결 :하드디스크는 사용자의 습관과 시간에 따라 수명이 달라집니다. 다른 주변기기와 다르게 수명이 짧기 때문에 2~3년 사용하면 의례 새로 구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리적인 고장으로 A/S를 받은 제품은 문제가 재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 백업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태 : 갑자기 하드디스크가 몇 분마다 멈추었다가 다시 읽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원인 : 하드디스크가 읽은 후 멈추었다 다시 읽는 것이 계속적으로 반복된다면 가장 의심가는 곳이 전원공급장치입니다.
해결 : 전원공급장치의 파워가 몇 와트이며 몇 개의 주변기기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만약 사용중인 주변기기가 많이 연결돼 있다면 파워의 부족으로 인한 현상일 가능성이 큽니다. 즉, 전원공급장치 케이블에 중간에 CPU 팬쿨러나 기타 장치들이 많이 연결되어 있으면 이런 일이 자주 일어나게 됩니다.
상태 : 하드디스크를 새로 장착했는데 부팅할 때마다 마지막에 "Press a key to reboot"라는 메시지를 내보낸다.
원인 : 하드디스크를 추가할 때 나타나는 마스터, 슬레이브를 위한 점퍼 설정이 잘못 됐거나 케이블 연결시 발생하는 오류라면 하드디스크를 아예 인식조차 못하게 됩니다. 그러나 플로피디스크로 부팅했을 때 하드디스크를 인식한다면 물리적인 연결 오류나 CMOS에서의 하드디스크 인식 오류의 가능성은 없다. 다만 FDISK를 하면서 C 드라이브로 쓰일 부분을 "set active partition"으로 지정하는 것을 잊어서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습니다.
해결 : 파티션으로 나눠진 드라이브 중 C 드라이브를 통해 부팅하려면 꼭 이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점을 확인해보고 그래도 역시 부팅되지 않는다면 하드디스크의 부트섹터의 손상이나 기타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손상으로 인한 오류이므로 A/S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상태 : 얼마 전부터 PC를 켜면 4번에 3번쯤은 하드디스크의 모델명이 이상한 글자로 나온다.
원인 : 최근에는 부팅할 때 하드디스크의 모델명이 나돈다. 그런데 이 모델명이 이상한 글자로 나온다면 원인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하드디스크에 에러가 난 것이고 두 번째는 I/O 카드에 이상이 있는 것입니다. 다른 시스템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해서 이상이 없다면 I/O 카드의 에러입니다.
해결 : 486 이하의 PC에서는 I/O 카드가 따로 있기 때문에 간혹 I/O 카드를 슬롯에서 뺐다가 다시 꽂으면 I/O 카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도 있지만 역시 이런 일이 생기면 I/O 카드를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펜티엄 보드처럼 I/O 카드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는 메인보드 자체를 A/S해야 합니다.
상태 : 하드디스크를 구입한 지 두 달밖에 안됐는데 어느날부터 NDD 검사에서 BAD 섹터가 발견된 뒤로 검사할 때마다 BAD 섹터가 늘어난다.
원인 : 사용한 지 얼마 안된 하드디스크에 BAD 섹터가 생기고 또 치료가 안된다면 하드디스크 자체의 불량이거나 도스용 NDD를 윈도우즈 95에서 실행했기 때문입니다.
해결 : 윈도우즈 95의 긴 파일을 BAD로 처리한 것은 포맷하면 되지만 하드디스크가 불량인 경우에는 하드디스크를 구입한 곳에서 교환이나 수리를 해야 합니다.
상태 : 하드 디스크의 부팅시에 1701 에러
원인 : 하드 디스크를 연결하는 커넥터 케이블이나 하드 디스크 컨드롤러가 슬롯에 연결불량.
해결 : 하드 디스크를 연결하는 커넥터 케이블이나 하드 디스크 컨드롤러가 슬롯에 제대로 연결 되었는지 확인해 본 후 재부팅시켜 봅니다.
상태 : 하드 디스크로 부팅이 되지 않고, 포맷시 베드 파티션 에러
원인 : 디스크의 부트 섹터가 깨어진 경우나 부트스트랩 로더에서 파티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해결 : 도스 명령어 fdisk를 실행하여 파티션을 조정하여 주고, 여기서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노턴 명령어 NDD를 실행하여 복구하여 봅니다. 이 경우에도 하드디스크로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포맷 프로그램으로 새로이 시작해야 합니다.
상태 : Missing operation system 혹은 Non-system disk or disk error 메시지.
원인 : FDD에 부팅화일이 없는 디스켓이 들어있거나 HDD내의 시스템화일이 깨진경우입니다.
해결 : 하나는 단순이 시스템화일이 깨져서 부팅이 않되는 경우인데, 이경우는 부팅 디스켓으로 부팅하여서 SYS C: 라는 명령을 사용하여 HDD로 시스템화일을 전송해 주면 됩니다. 다른 하나는 HDD 의 부트섹터가 깨졌을 경우로 그곳에 배드섹터가 생겨서 그곳에 있던 시스템화일이 깨진경우 이므로 하드웨어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상태 : HDD의 파티션을 새로 잡으려 하는데 Volume label이 소문자로 바뀌어 있어 DOS 명령어인 label로 바꾸려 해도 바뀌지 않는다.
원인 : 정확히 어떠한 원인 때문에 발생하는지는 모르지만 짐작이 가는 원인은 바이러스와 윈도우에서의 작용 정도....
해결 : HDD Format을 먼저 해 주어야 하는데, FORMAT 을 할때에 옵션을 /Q 로 주면 QUICK FORMAT을 하므로 몇초 후에 Volume label을 새로 고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 FDISK로 새로운 파티션을 나누어 주면 잘못된 Volume label 때문에 진행하지 못했던 파티션 작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상태 : HDD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원인 : 케이블 연결불량
해결 : 케이블을 바르게 연결 했는지를 확인해 봅니다. 하드케이블을 보면 1번선에 빨간색으로 칠이 되어있을 것입니다. 하드케이블의 1번선과 HDD의 1번 핀과 바르게 연결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또, 메인보드의 1번 핀과 케이블의 1번 선과도 바르게 연결되어 있는지도 확인하고 하드 케이블을 교체해 봅니다. HDD의 점퍼 조정을 확인해 줍니다. 위 사항을 확인 했음에도 같은 증상이 발생 한다면 다른 컴퓨터에서 HDD를 테스트해 보고 똑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HDD를 교체해야 합니다.
상태 :
'컴퓨터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CPU온도가 높게 나올때 해결방법 (0) | 2008.09.17 |
---|---|
[스크랩] 고스트 사용법입니다. 모르시는 사장님들을 위해 제가 어디서 퍼왔습니다. (0) | 2007.05.26 |
[스크랩] 컴퓨터 고수 [4] (0) | 2007.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