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조화설비 AHU

[스크랩] [ 공기조화설비]

잘👍살아보세 2011. 8. 30. 08:56

◎ 공기조화설비의 개요

공기조화란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분진, 박테리아, 취기(냄세) 유해가스등의 조건을 실내의 인간 또는 물품에 대해 가장 양호한 조건유지를 의미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적어도 이 가운데 온도, 습도 및 기류를 적당한 조건으로 유지해야 한다. 공기조화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보건용 공기조화는 실내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인간이 활동하기 위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공조시의 실내조건을 들면 다음과 같다.

 

실내환경

설계조건

비고(건축기준법)

온 도

여름 25~27˚C

17~28˚C 외기와 실내의 온도차 7˚C 이상

겨울 20~22˚C

상대습도

여름 50~60%

40~70%

겨울 40~50%

기류속도

0.1~0.2 m/s

0.5m/s 이하

부유분진

-

0.15 mg/㎥

Co농도

-

0.01% 이하 (10ppm이하)

Co2농도

-

0.1% 이하 (1000ppm이하)

 

이에 대해 산업용 공조는 주로 물품을 대상으로 사용 목적에 따라 생산공정, 제품저장, 측정실, 실험설비 등에 최적의 공기 환경을 목적으로 한다.또 산업용 공조는 실내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의 작업환경 개선과 능률 향상을 위해 작업용 공기조화도 포함해 고려해야 한다.

◎ 공기조화설비의 구성

항목

기기

기능

열원설비

냉동기, 보일러, 히트펌프

냉각, 가열을 위한 열매(냉수,온수,냉매,증기 및 온풍 등)를 만든다.

열교환설비

공기조화기, 열교환기

공조 공간에 보내는 공기의 온습도, 청정도를 조정 송풍한다. 공조 공간에 보내는 열매를 만든다.

열매운송설비

송풍기, 펌프, 닥트. 배관

공조공간, 공조기에 열매(공기,물)를 보낸다.

실내유니트

취출구, 흡입구, Fan Coil Unit 유인 Unit, 패키지형 Unit, 방열기, 멀티유닛형에어컨디셔너

공조공간의 공기를 조화공기로 하거나 조화공기를 공급한다.

자동제어

자동제어기기,

상기설비를 합리적 운전을 위해 온습도, 유량의 자동제어, 기기의 감시.

중앙관제설비

중앙제어,

 

원격제어

 

 

 

◎ 공조시스템의 분류와특성

일반적 분류에 의한 체계파악

 

분류Ⅰ

방식명

설 명

공기방식

열매로서 공기만을 사용하는 방식

* 단일 DUCT방식

* 냉풍또는 온풍 한가지만을 송풍하는 싱글덕트(Sing Duct)방식이라고 한다.

* 멀티 ZONE방식

* Zone마다 다른 온도의 공기를 송풍한다.

* 이중 DUCT방식

* 냉풍과 온풍을 각실 또는 각 Zone에 송풍한다. 듀얼덕트(Dual Duct) 방식이

 

라고도 한다.

물+공기 방식

열매로서 Room까지 물(냉온수)과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

* 팬코일유닛 방식

* FAN을 내장한다. 공기는 별도 계통으로 한다.

* 인덕션유닛 방식

* 고압공기로 실내공기를 유인한다.

물 방식

열매로서 물만을 사용하는것

* FAN을 내장한다. 외기도입은 후면 외벽으로부터 가능

패키지 방식

냉동기를 내장하는 공조기

- 수열원, 공기열원

- 덕트방식, 실내 설치방식

- 열원수방식, 냉매방식(멀티방식)

직접 난방 방식

난방을 실시하는 방식, 공조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온수난방

* 대류(자연, 강제) 방식, 라디에이터 방식

* 증기난방

* 대류(자연, 강제) 방식, 라이에이터 방식

* 복사난방

* 복사에 의해 MRT를 높게 한다. 천정패널, 바닥패널, 벽패널

(패널히팅)

 

 

대비적 분류에 의한 체계파악

 

분류Ⅱ

방식의 대비

설 명

센트럴 방식과

*센트럴 방식-건물전체 또는 커다란 Zone을 1대의 공조기로 대응하는것

ZONE 방식

*ZONE 방식 - 각층마다, 용도마다, 부하패턴마다 공조기를 분할 설치하는것

 

[비교포인트]

 

* 온도의 균일 제어성 *에너지 절약성 * 기계실공간 * 외기의 분배 성능

단일덕트와

* 단일덕트 방식에는 재열방식, 부스터코일 방식 등의 변형이 있다.

이중덕트

[비교포인트]

 

* 온도의 개별(각실)제어성 *에너지 절약성 * 덕트공간 * 경제성 *혼합 *재열손실

2관, 3관, 4관 방식

* 2관(공급+환수), 3관(냉수공급+온수공급+공통환수), 4관(냉수공급, 환수+온수공

급, 환수)

[비교포인트]

* 온도의 개별(각실)제어성 *에너지 절약성 * 덕트공간 * 경제성 *혼합 *재열손실

물순환 방식과

* 단위 면적당 가능한 열 공급량은 물이 공기의 1,000배에 가까우므로 집중부하를

처리하는데 물이 편리

공기방식

 

[비교포인트]

 

* 환기성(공기여과, 외기공급) *부하처리성 * 덕트 * 배관공간 *비용

정류량과 변유량

* 부하변동에 대해 온도차를 바꾸거나(정유량), 유량을 바꾸는 것(변유량)의 차이

[비교포인트]

* 부하변동성 *에너지 절약성 * 환기성(공기청정, 외기공급) * 공기분포 * 제어특성

전체방식과

* 전체방식- 공간전체를 공조하는것

국부방식

* 국부방식- 작업공간, 거주공간 만을 공조한다는것

 

[비교포인트]

 

*에너지 절약성 * 온도분포 * 비작업공간의 온습도 제한

대류방식과

[비교포인트]

복사방식

* 쾌적성 * 환기성 *작업성 *에너지 절약성

 

공조기 구성도

 

 

 

출처 : Mebius
글쓴이 : 역린 원글보기
메모 : 공조기 구성 과 특성